최근 청와대가 제2, 제3의 지역상생형 일자리 모델 지역을 선정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최우선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는 군산지역의 차별화된 사업대상 결정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문재인대통령이 3년차 국정운영과제 공유를 위한 기초단체장과의 간담회에서 ‘광주형일자리’ 확산에 대한 의지를 밝혔고 청와대 정태호일자리수석은 전북 군산, 경북구미, 대구 등에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고 까지 밝혔다. 특히 김수현정책실장은 지난달 5대그룹 고위임원들과 만나자리에서 차기 광주형일자리 모델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삼성을 비롯한 주요대기업들의 참여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기도 하다. 그동안 전북도가 군산을 중심으로 한 전북형일자리모델의 필요성을 강력히 요청해 왔고 차별화된 자동차와 조선등 3개 모델을 준비 중에 있는 만큼 정부와의 긴밀한 조율을 통한 사업추진 결정에 도민들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과제가 없는 건 아니다. 일단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 메인기업 선정이 우선의 넘어야할 산이다. 법인설립을 위한 주축기업을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은 처음부터 난항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부에선 성급한 일자리 늘리기가 과당경쟁, 과잉생산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성급한 우려까지 내놓는다. 그런가 하면 충북도에서는 '광주형일자리' 모델에 착안한 아이디어 발굴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좋은 아이템만 있으면 정부를 설득할 수 있고 지자체와 기업만 합의하면 공장은 가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의 심각한 경제위기를 실감치 못하는 중앙일부에선 벌써부터 저임금, 과잉투자에 따른 문제점을 부각시키며 추가 광주형일자리의 부정적여론 확산에 나섰고 일선 지자체는 새로운 일자리모델의 지역접목을 위한 아이디어 개발에 예외 없이 뛰어들고 있다. 정부 결단을 이끌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자체가 마냥 정부만 의지해서 될 일도 아니라는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전북만의 고통과 어려움을 인식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반을 조성하고 미래 산업의 구체적인 그림을 그려 설득하는 기본 작업은 모두가 전북도 몫이기에 더욱 그렇다. 자동차와 조선소 재가동에 필요한 모든 시설과 숙련공이 남이 있는 전북 경쟁력이자 같은 만큼의 아픔을 안고 있는 지역에 우선의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에 재론의 여지가 있어선 안 된다. 전북도의 최선을 다한 차질 없는 준비와 정부의 흔들림 없는 의지의 뒷받침을 다시 한 번 당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