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지역 경제는 한파라는 표현이 모자랄 만큼 최악의 상황을 맞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생산, 투자, 소비 등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경제지표가 ‘악화’를 표시하면서 전방위적인 경제침체 신호를 보냈기에 그렇다. 외환위기나 글로벌금융위기 직후에 나타났던 수치들과 비교될 정도다.
최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연간 전북지역 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은 전년에 비해 무려 11.5%포인트가 줄었다.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 비금속광물제조 등 거의 모든 제품의 생산이 감소했다. 그리고 소비가 안 되니 재고가 쌓이고 이는 곧 생산량 감소에 이은 실업률 증가로 이어졌다.
실제 지난해 고용률은 58.3%로 전년대비 0.3%포인트가 줄었다. 당연히 실업률은 2.7%로 전년의 2.5%보다 0.2%포인트 증가했고 1년 만에 1만8000천명이 늘어 25만5000명에 달했던 실업자는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는 ‘탈 전북’으로 이어졌다. 한 해 동안 순 인구유출이 1만3773명에 달할 정도였다. 심각한 경기침체 장기화가 마이너스 고용으로 이어졌고 이는 곧 탈 전북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들며 지역경제 회생을 더욱 어렵게 하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한국개발연구원이 내수와 수출이 모두 위축되고 생산과 수요측면에서 경기둔화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국내경제를 심각한 부진으로 진단한 상황이라 지역이 감내해야 할 경제위기 체감 도는 예상이상이 될 전망이다.
더욱이 경제침체가 전국적인 문제인건 맞지만 이러한 위기 시작의 직격탄이 취약한 경제력에 무너진 제조업으로 오랜 고통을 받아왔던 이 지역에서부터 불거지면서 도민들 고통은 배가된 상황이다.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고 GM군산자동자공장이 폐쇄되면서 급격히 가라 앉아 버린 전북경제가 과연 회생될 수 있을 것인지 조차 의문이 드는 상황에서 국내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 진단이 희망마저 잃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경제위기 심각성에 대한 대책마련 시급성이 제기된 지 오래지만 위기론이 과장됐다는 정부의 방어적 자세가 위기를 더욱 키우고 있는 건 아닌지 정말 돌아봐야 할 때다. 특히 무너지는 지역경제를 위해 회생 책은 아니라도 최소한 버팀목이라도 세워주길 지역에선 바라고 있다. 선제적 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의지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