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기관과 단체마다 기념행사를 꾸리기 급급한 가운데 일제 잔재 청산에는 갈 길이 먼 것으로 확인됐다. 일상 속 일제 잔재가 여전한 이유다.

전주 동산동은 전범기업 창업주의 호를 딴 지명으로, 양곡 수탈의 아픈 역사다. 해당 지역은 과거 조각구름이나 쪽구름이라는 뜻을 가진 ‘편운리’라는 지명을 갖고 있었다.

미쓰비시 그룹이 한국 토지를 수탈하기 위해 이곳에 동산농사주식회사를 세우고, 동산농사의 동산을 따서 이곳은 ‘동산동’으로 명명했다. 여기서 동산은 미쓰비시 창업주의 호이기도 하다.

현재 전주시는 ‘동산’에 주민 의견을 수렴해 지명 변경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주 다가교에 자리한 석등은 일본 신사의 형태와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그간 숱한 논란을 야기했다.

다가교 동서 양측 교량 진입부 교명 위에 모두 4개의 석등이 설치, 해당 석등은 4개의 직사각형 기둥이 기와지붕을 받치고 있는 형태를 띠는 등 일본 건축 양식을 닮았다.

전주시는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는 견해로 다가교 석등에 대해 안내 방안도 모색했으나 이를 철거키로 최종 결정했다.

학교 운동장에 조성된 조회대도 일제 잔재 중 하나다. 전북교육청은 2017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일제 잔재이며 군사문화의 상징인 조회대에 대한 철거 지적을 받았다.

이듬해 이뤄진 실태조사에서 당시 713개 학교 중 536개 학교에 조회대가 존치, 이후 전북교육청은 철거 예산을 지원하는 등 철거 사업을 벌였다.

현재는 발표회 등 무대 및 놀이터 등 휴식공간으로의 활용 전환, 체육 등 옥외활동에서의 사용, 구조상 철거가 어려운 경우 등 370개 학교에 조회대가 남았다./권순재기자·aonglh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