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결렬됨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이 구상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단독 정상회담 및 확대회담을 가졌지만,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은 채 헤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이 결렬된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비핵화 의지가 있었지만, 완전하게 제재를 완화할 준비는 안 돼 있었다. 제재완화를 원했지만 우리가 원했던 것을 주지 못했다”며 하노이 회담이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공식 선언했다.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를 주고받는 북미 하노이 핵 담판이 결국 제재완화를 둘러싼 양측간 간극을 좁히지 못해 결렬됐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앞서 북한은 제재완화를 최우선 상응 조치로 요구해온 반면 미국은 영변 핵시설 폐기와 함께 '+α'의 가시적 비핵화 실행조치가 있어야만 제재완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맞서 왔다.

기자회견에 동석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영변 핵시설 외에도 굉장히 규모가 큰 핵시설이 있다”면서 “미사일도 빠져 있고, 핵탄두 무기 체계가 빠져 있어서 우리가 합의를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계속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할 것이다. 김 위원장은 대단한 잠재력을 가졌다”며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견을 좁히며 다음 만남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해 비핵화 협상의 의지는 여전하다는 뜻을 전했다.

이날 회담 결과는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오전까지도 회담의 긍정적 성과를 기대할 만한 분위기가 감지됐었다. 북한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전 가진 기자회견에서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비핵화가 준비됐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런 의지가 없다면 여기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번 북미회담이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지난해 6월 싱가포르 1차 북미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시작된 한반도 비핵화 평화 로드맵이 기로에 서게 됐다.

청와대는 하노이 핵 담판 결렬 소식에 아쉬움을 내비치면서도, 향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지속적인 중재 노력을 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차 북미정상회담 관련 논평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오늘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점은 아쉽게 생각한다”며 “하지만 과거 어느 때보다도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룬 것도 분명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룬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북한은 앞으로도 여러 차원에서 활발한 대화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며 “우리 정부는 미국과 북한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면서,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나가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비핵화 중재 의지를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 후 곧바로 미국 귀국길에 올랐지만, 김정은 위원장과 북한 측 참모들은 회담 결렬 이후 공식 입장은 내지 않은 채 숙소에 머물렀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