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사태가 '국가적 재난' 수준으로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촌 역시 미세먼지로 신음하고 있다. 야외작업이 많은 특성 때문에 많은 농민이 미세먼지에 노출되고 있다. 또 일조량 부족으로 딸기 등 시설재배 농작물의 피해가 늘고 있다. 개화기 때 햇빛 투과율이 떨어지니 꽃수가 적어지고 열매도 적게 달려 수확량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세먼지가 열매에 쌓여 썩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애호박, 상추 등에서도 마찬가지 피해를 낳고 있다. 아울러 미세먼지는 작물의 상품성과 생산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가축의 사료 섭취량까지 줄이게 하고 있다. 젖소가 미세먼지로 스트레스를 많아 받으면 사료 섭취량이 줄고, 유량도 감소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여기에 송아지들까지 호흡기 질병에 시달리지 않을까 걱정이다. 결국, 농촌에서는 사람이나 가축이나 작물 모두가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피해도 크다는 것이다.
수확기를 놓치면 안 되는 현장에서는 마스크와 목버프로 얼굴을 가리고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데,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이 목이 따갑다고 하소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농업기관들은 미나리나 당근, 돼지고기 등으로 먼지 독소를 배출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또한 온실 세척 역시 세제를 희석한 물을 살포해 닦아야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일조량이 부족한 실내에는 광량이 많은 조명을 설치해야 하는 것도 제안했다. 또 방목 가축들을 축사로 들여보내고, 외부공기를 차단하며, 야적 볏짚 등은 비닐로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내부 미세먼지를 소독하는 등 사육에 만전을 기할 것도 제시했다. 그런데 정부의 대책이 지적받고 있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7일간 이어질 때도 농업 관련 문자메시지 한번 없었고, 뒤늦게 긴급대책을 추진한다는 게 영농폐기물 태우기 금지와 농업·농촌 미세먼지 테스크 포스를 운영하겠다는 내용이었다. 미세먼지에 농민이 더욱 취약한데 관련 정책에 건설근로자 등만이 대상으로 정해지고 있다. 이에 농민 건강을 보호하고, 작물과 가축 피해를 줄일 방안을 내놓으라고 농민이 요구하고 있다. 정부와 농정당국은 서둘러 농민과 가축, 작물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