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가운데 전북의 치매부양 부담이 급격히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치매발생을 예방하는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북은 노령화와 함께 저출산과 청년인구 유출이 가속화돼 다른 지역보다도 초고령화 사회진입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치매 관리대책 마련이 더욱 시급하다.

21일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35만2078명으로 이중 치매환자는 3만9899명(11.3%)으로 추정됐다. 이는 도내 전체 노인 인구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치매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내 치매부양비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2017년 현재 치매부양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으로 3.6명에 달했고, 전북(3.0명), 경북(2.9명) 강원(2.7명), 충남(2.8명) 등 순으로 높았다. 낮은 지역은 노인 인구 비율이 낮은 대도시로 인천·세종·경기(1.5명), 서울·광주(1.6명) 등이었다. 도내에서는 지난 2017년 치매환자 관리비용으로 총 7866억200만원이 소요됐다.

특히 전북은 고령화와 생산인구 감소가 맞물리면서 지난해 기준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노년부양비율은 전국평균(19.6명)을 훌쩍 뛰어넘은 27.7명이다.

전북은 전남과 경북에 이어 고령화가 빠르게 증가해 지난해 말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18.9%로 초고령사회에 근접했다. 전주와 군산, 익산을 제외한 11시 시·군의 경우 이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고 7개 시·군은 30%를 초과했다.

반면 고질적인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함께 일자리·교육 문제 등의 이유로 전북지역 젊은층 유출현상이 더욱 심화되면서 지역의 성장 잠재력마저 고갈되고 있다.

실제 지난해 도내에서는 총 1만3773명이 순유출됐으며, 올 들어서도 1월 한 달간 순유출 인구가 1664명에 이르렀다.

연령대별로 보면 20~29세가 947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39세(2537명), 10~19세(1409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전체 유출인구 1만3773명 중 청년층 인구 1만2007명(87.1%)이 순유출된 것이다.

도내 치매센터 한 관계자는 “전북은 고령화로 인해 노인층 치매 발생과 그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치매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는 등 도민들도 치매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져야 하고 치매 예방에 대한 국가 인프라도 확충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