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 시장의 구조적 공급과잉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정책으로 쌀 생산 조정제 등을 펼치면서 밭 농업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밭농업을 위한 농기계 개발과 농가에 보급되는 농기계가 적어 농가들을 위한 또 다른 정부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논농업기계의 기계화율은 100%에 달할 정도인데 밭농업기계화율은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임을 보면 밭농업 농기계 개발과 보급이 더욱 시급해 보인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논농업기계화율은 98.4%이다. 그러나 밭농업기계화율은 60.2%에 불과하다. 나아가 파종·정식기(9.5%)와 수확기(26.8%)는 너무 낮다. 또, 지속적으로 농촌이 고령화되고 노동인력이 부족해지면서 여성들이 농사일에 많이 가담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농업인이 농사일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이 지난 2008년 43.6%에서 2013년에는 66.2%로 20%이상 증가했다. 농촌이 갈수록 고령화되고 여성화되는 현실에서 일손이 더 많이 필요한 밭농업의 기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당연한 것 아닌가 싶다. 물론, 정부도 밭농업기계에 대한 중요와 필요를 알고 오는 2022년까지 밭농업기계화율 75%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제는 계획을 반드시 실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즉각적으로 나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양 기관이 적극 나서 밭농업 기계를 개발하는 한편, 밭농업기계를 농기계 임대사업소나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사업을 통해 보급, 실질적으로 밭농업 농기계의 이용률을 높여야 한다. 다행이 주산지 일관기계화 사업 예산이 획기적으로 확대됐다고 한다. 이에 사업의 실효성을 더 높이려면 농가 접근성이 높은 지역 농협이 대거 참여해야 한다고 본다. 지난해처럼 주산지로 지정된 시군의 지역농협에만 신청을 받아 단 한 곳도 신청하지 않는 일이 발생해선 안된다.

올해부터는 모든 지역농협으로 주산지 일관기계화 사업이 확대됐다. 그런만큼 최소한 읍면에 있는 지역농협에서라도 주산지 일관기계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지역농협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지원 등 종합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 농촌이 살아야 국민이 산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