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일자리의 질이 수도권 등에 비해 매우 열악한 것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지역고용동향브리프' 봄 호에 '지역의 일자리 질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이라는 보고서를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양질의 일자리는 수도권 등 일부 도시에 몰려있었다. 반면, 농촌지역의 일자리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정보원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좋은 일자리를 어느 정도 가졌는지 판단할 수 있는 '지역 일자리 질 지수'를 개발해 이번 조사에 적용했다. 이 지수는 2015년을 기준으로 지자체별 전체 취업자 중 고소득자와 고학력자, 고숙련자 비중을 분석해 표준점수로 환산한 것이다. 일자리의 경제적 측면을 대표하는 소득지표, 인적자원의 역량을 알려주는 고학력자 비중, 일자리의 사회적 비중을 보여주는 전문직 비중을 따져 일자리의 질을 측정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진안군이 일자리 질 하위 2위 지역에 올랐다. 하위 1위 경북 의성과 3위 경북 영양, 4위 전남 고흥, 5위 경북 봉화 등 농촌지역일수록 일자리 질은 열악했다. 반면, 일자리 질 상위지역 39개 시군 가운데 32곳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고, 중상위 지역도 비수도권 산업도시와 거점도시, 경기도 주요도시에 몰려있었다. 고소득자 비중이 가장 높은 서울 서초구(47.7%)와 가장 낮은 강원 고성(6.9%)의 격차는 40.8%포인트나 됐다. 고성 다음으로 강원 양구와 화천이었고, 진안군은 고소득자 비중에서도 전국 하위 4위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전북지역에서 일자리 질 하위와 고소득자 비중 하위를 차지하는 지역은 상당수다. 무주, 장수, 임실, 순창 등은 진안군과 크게 다르지 않다. 거점도시인 전주와 익산, 군산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시 지역의 일자리 질 역시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질 좋은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리면 농촌과 함께 도시도 위기를 맞을 수 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좋은 일자리가 집중되고, 이러한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세대 간 계층이동성이 약화되면서 농촌이 몰락하고, 이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성까지 위협하게 되는 것은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한 사실이다. 정부가 국가균형발전 및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한다면, 지역 간 일자리 질 격차를 줄이는 데도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도시와 농촌이 공생하는 관계가 커질수록 정책 목표의 실현 가능성은 높아진다. 그 시작은 농촌에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