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득의 역외유출을 막기 위한 제도적 보완장치 마련이 서둘러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한해에만 도내 전체 소득의 7.6%에 해당하는 3조7000억 원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이같은 자금 역외유출은 지난 2000년 이후 매년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지역 경제 선순환생태계 구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전북연구원은 ‘지역소득 역외유출 진단과 대응방향’이란 이슈브리핑을 통해 전북 소득  역외유출 규모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건 열악한 경제규모 탓에 지역 전체소득 자체가 낮아서 발생하는 착시현상에 따른 것이라며 유출을 막기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순유출규모가 작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외면하면서 지난 16년 동안 매년 전체 금액 증가세로 인한 위기에 까지 둔감해지는데 따른 경고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지역에서 순환되며 주민들의 경제활동은 지원은 물론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밑거름 역할을 해야 할 자금이 도외로 빠지면서 경제침체의 한 요인이 되고 있음은 중요한 문제다. 지역에 자금이 돌지 않으면 지역 성장은 멈추게 된다. 활발한 산업 활동을 지원하고 여기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의 부정적 사회 비용 모두를 지역에서 부담하는 건 경제 동맥이라 할 수 있는 자금의 풍부한 유동성을 위해서다. 그런데 이들 자금 상당부분이 수도권 등의 타 지역으로 흘러가면서 지역 간 분배 불균형에 따른 또 다른 문제까지 야기 하는 상황이다.
특히 보고서는 타 지역에 본사를 두고 전북에 분공장이나 지사를 운영하는 기업들이 전북에 본사를 둔 기업보다 월등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자금을 빨아들이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여기에 도민들의 소비 성향이 도내에서 유통되는 물건 보다 타시도 재화나 서비스에 지출되는 경향이 강한 것 역시 자금 역외유출의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지역산업의 구조적 문제에서 도민 소비성향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문제를 안고 있단 진단인 셈이다.
중장기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주요기업 본사의 전북유치는 물론 향토기업 육성, 산업체질 개선, 역외소비활동 억제를 위한 지역 상품애용에 대한 도민의식 제고가 필요하다. 인근 충남이 도입키로 한 지역화폐 등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하루아침에 해결될 일이 아닌 난제지만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미래는 없음에 전북은 긴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