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우려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 지역거주 주민들은 어려움은 있겠지만 없어지진 않을 것이란 긍정적인 인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전북도와 전북연구원이 내놓은 ‘전라북도 농촌 과소화 정책지도 제작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자연마을 6천888곳 중 과소화 마을은 17%인 1천161곳이었고 이중 절반이 넘는 654곳은 인구감소세가 매우 빠르게 진행 중이었다.
지역별로는 고창의 경우 인구감소율 기준 50%이상인 ‘과소화심각단계’마을이 77곳이었고 25%이상으로 분류하는 ‘과소화경계단계’ 마을도 106곳에 달했다. 진안, 정읍, 부안, 김제 역시 50%이상 주민이 감소한 마을이 빠르게 늘었다. 역시 원인은 주민 고령화와 저 출산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최우선 과제의 하나로 다루는 출산장려 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할 경우 지역소멸은 당면의 현실 될 수밖에 없음에도 현실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려스런 대목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 같은 통계적인 분석과 달리 도내 전체 마을 이장들이 느끼는 현실은 ‘그렇지 않다’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5197명 이장중 3725명이 응답한 의식조사 설문조사에서 75%의 이장이 농촌마을 소멸론을 부정한 것이다. 특히 자신들이 속한 마을은 다른 지역에 비해 활성화됐다는 긍정적 응답이 79%나 됐고 주민들간 친밀도 역시 94%가 ‘그렇다’고 답했다. 주민들이 느끼는 내 지역에 대한 애착이 통계수치와 큰 차이가 있음이다.
여기에 지난 2000년 204곳에 달했던 ‘무 거주 마을’이 2016년엔 49개로 대폭 줄었다. 지자체들이 농촌인구 증가를 위해 추진 중인 귀농귀촌이 성과를 거둔 결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가능한 부분이다. 전북 인구감소 추세가 우려할만한 수준 인건 맞지만 농촌마을의 긍정적인 변수를 통해 대안을 찾아 볼 수도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갖게 하는 것이다.
‘내 마을이 없어지지 않을 것’이란 기대와 희망을 현실로 이어가기 위해선 보다 세심한 점검과 노력이 필요하다. 전북인구 유입의 효과를 다시 농어촌지역으로 까지 확대하는 문제는 또 다른 과제이기 때문이다. ‘자연소멸’을 ‘자연성장’으로 전환하는 쉽지 않은 작업의 성공표본이 전북의 농촌마을이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