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기준, 전북 지역 농가들이 사상 최대의 소득을 창출하면서 부채 또한 크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농가소득 증가율의 경우 전국 평균(10%)을 크게 뛰어넘는 전국 1위(28%)의 성과를 보이며, 소위 ‘돈 되는 농업’을 위한 전북도의 ‘삼락농정’ 정책(민선6기~)이 점차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북의 농가소득 증가율은 지난 2017년보다 28.0%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 10%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증가율로, 소득액은 전국 평균(4206만6000원)보다 302만4000원(7.2%)이 높은 4509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소득액은 제주 4863만원, 경기 4850만8000원에 이은 전국 3위 규모로, 감귤 재배 및 농촌관광산업 특화 등에 따른 고소득(제주)과 촘촘한 농업 인프라와 소비처(수도권) 이점 등을 바탕으로 한 시설 재배 중심(경기)의 두 지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로 해석된다.
농가 건전성 평가의 지표인 부채의 경우, 2534만1000원(전국 7위)으로 전국 평균 3326만9000원 보다 792만8000원(23.8%) 낮았고, 지난 2017년 2577만2000원 보다는 43만1000원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도는 이런 성과에 대해 민선6기부터 도정 최우선 정책으로 펼치고 있는 ‘제값 받는 농업-삼락농정’을 통한 특화된 시책 발굴·추진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는 삼락농정의 대표 민관 협치 기구인 ‘삼락농정위원회’가 농민 중심의 농정협의체로 정착하면서, 지난 2015년 이후 현재까지 71건(농산물 최적가격 보장제, 로컬푸드 유통체곅 구축 등), 684억 원의 신규시책을 발굴 추진, 농가소득 향상을 이끈 것으로 자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전북 농민 공익수당’ 도입,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확대 및 ‘농축산물 재해보험’ 등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중소 농업인의 안정적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로컬푸드의 공공급식 확대’ 등을 중점 추진,  농가 소득 및 경영안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아울러 체감형 농민 복지 증진을 위한 ‘농번기 공동급식’ 및 ‘생생카드’ 확대와 여성농업인 편의장비 등의 지원도 확대하고, 거점·생생 마을의 안정적 운영 활성화 지원, 농촌체험 휴양마을 조성 및 도시와 청년의 삼락캠프, 권역·마을단위 종합개발 사업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할 고안이다.
이밖에도 식품·종자·미생물·ICT농기계·첨단농업 등 5대 클러스터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을 통해 전북을 아시아 농생명 산업의 수도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송하진 지사는 “농업의 성장 없이 전북이 발전할 수 없다. 삼락농정이라는 협치 행정을 통해 큰 성과를 창출했던 점이 더욱더 의미가 있다”라며 “이런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농민중심의 ‘삼락농정’을 강화함으로써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