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은 4차산업혁명의 중요한 수단이다.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물건을 나르는 등 드론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전장에서 적을 정찰하고 감시하며, 폭탄을 투하하는 것은 물론, 농사에서 방제·시비·관찰, 산업에서 현장 조사 및 데이터 수집 등 드론의 활용도는 끝이 없다. 이에 정부 역시 드론 자격증을 신설하고, 다양한 활용도에 맞게 드론을 연구·개발하는 사업을 지원하는 등 드론 산업 발전을 대놓고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국내 드론 활용 기술 개발이 아직은 너무 미미하다. 방제·시비·파종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됐던 국내 농사용 드론은 단지 벼 병충해 방제에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농촌진흥청이 작성한 '농업용 무인항공기 이용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농가들이 사용하는 농업용 드론 10대 중 9대는 벼 재배에 쓰였다. 조사에 응한 농가의 98.1%가 벼 병해충 방제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이마저도 방제액 적제 규모가 작아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드론의 양력에 따른 바람 세기가 약해 약제가 줄기부분까지 내려가지 않는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차라리 농업용 무인헬기가 적재량도 크고 바람이 세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아울러 농업용 드론은 다른 여러 작물에 사용되는 경우도 드물다. 원예작물에 사용할 수 있는 드론 전용 살균제나 수용제 종류도 적고, 쓰임새도 시비·파종 보다는 방제에 국한되고 있다. 여기에 정밀작업 기능이 떨어져 다양한 작물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실험과 데이터 축적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외국에서는 드론에 초소형 카메라를 부착해 작물 생육상황을 진단한 다음 경작지 구역에 따라 비료의 양을 달리 살포하는 기술이 보급됐다고 한다. 이밖에도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반면, 우리는 아직 단순하면서도 소형인 드론만을 사용하는 게 전부라고 한다. 이 때문에 농업용 드론기술을 고도화하는 장·단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농업용 드론의 적재량을 늘리고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는 게 급선무로 꼽혔다. 그래야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아울러 드론을 활용한 작물 생육진단, 농약·비료 처방, 데이터 축적 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맞는 기술 보급체계도 만들자는 것이다. 농업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계에서 드론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정부는 국가기관 및 산업체와 학계 등을 연계해 드론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