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지역일자리 활성화 대책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나선 만큼 전북도 역시 이에 맞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군산조선소가 가동을 멈추고 한국GM군산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지역경제가 초토화된 군산경제 회복의 실마리를 지역상생형 일자리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광주형일자리 2차 모델 선정을 통해 찾아야 한다는 당위성 차원에서다. 정부 역시 전북 군산과 경북 구미를 후보지역으로 압축해 놓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최근 지역일자리를 위한 제2, 제3의 광주형일자리 활성화를 강조하고 “6월 이전에는 한두 곳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정 수석은 고용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지만 2018년보다 개선되고 있고 어렵지만 희망적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하반기로 갈수록 고용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 정 수석은 올 취업자 수 증가를 20만 명 내외로 예측하기도 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임금을 동종 업종 대기업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고 정부와 지자체가 주거나 문화 복지시설 등을 지원해 낮은 임금을 보전해 주는 지역상생형 일자리 늘리기 정책이다. 대기업이 문을 닫으면서 지역경제가 초토화된 군산은 물론이고 기업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전국 지자체 모두가 광주형일자리에 관심을 갖고 제2, 제3의 후보지 지정을 받기 위해 온 힘을 다하는 이유다.
자본과 인력이 부족한 지역경제의 한계적인 상황에서 노사민정이 한발씩 양보하고 지원을 확대해 일자리를 늘린다는 점에서 이는 우리경제의 새로운 상생형 모델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전북도는 군산에 중소벤처기업중심의 전기, 자율자동차 협력기업 집적화를 위한 클러스터 조성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현재 관련법인 설립 등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한국GM군산공장을 인수해 전기차 생산 계획을 밝힌 MS그룹 컨소시엄도 설비점검을 마치고 7월부터 시험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군산형 일자리’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임은 물론이다. 
특정지역 일자리 문제 해결은 물론이고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지역상생형 일자리 파급 효과는 크다. 정부 의지 못지않게 전북차원에서도 반드시 선정, 추진돼야할 만큼 지역경제 침체는 심각하다. 조속한 지정을 위한 마무리 준비작업과 지정 당위성에 대한 정부설득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이 역시 타지자체와 경쟁하는 현안이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