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이 125년 만에 국가 법정기념일(5월 11일)로 제정됨에 따라 향후 동학농민혁명 계승사업을 국가가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역별 역사적 사건의 ‘기념’이 기존의 동학농민혁명 사업 방식(1.0)이라면 국가기념식 개최를 분수령으로 삼아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가치와 정신을 현재에 실천하는 국가 주도의 ‘동학농민혁명 계승사업 2.0’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전북연구원은 이슈브리핑을 통해 지난 5월 11일에 처음으로 개최된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식을 계기로 향후 국가 주도의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기념재단의 기능과 조직 확대 등을 위해 국가가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연구원은 국가주도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사업방향과 과제를 제안했다.

먼저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한 종합계획이 시급하게 수립돼야 하며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5년 단위의 중기계획 수립과 이와 관련된 법률 개정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2005년에 기본계획이 수립된 이후에 한 번도 종합계획이 수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전국적인 기념사업 추진을 위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의 기능과 조직의 대폭 확충, 조사연구 확대, 예산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기념사업은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행사성 사업이 대부분으로 정부의 지원 없이 지자체나 관련단체에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거나 일부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실제 지난 1998년 10월 26일 확정된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조성계획의 경우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통령 관심 사업’으로 추진됐으나 지난 2010년 미완료 사업으로 종료되었고, 특별법 제정 이후에도 정부에서 큰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최근 들어 다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전국 300여개의 혁명 유적지 가운데 국가사적은 5곳에 불과해 각 유적을 대상으로 시급성, 원형 보존성, 역사적 의의를 고려해 문화재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혁명 정신을 계승하도록 시민교육에 집중할 것도 제안했다.

장세길 박사는 “가슴 뜨거운 분노와 자긍심을 기반으로 하는 감성적 계승사업을 위한 브랜드 전략으로 ‘한국민주주의 뿌리’라는 동학농민혁명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며 “현대적 계승 사업은 특정 장소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전국 단위 시민교육(정신선양) 중심의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