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 없는 공장’, ‘보이지 않는 무역’이라 불리는 관광산업.
이는 별도의 하드웨어적 투자를 최소화하면서도 고유한 지역만의 자연 환경과 문화유적 등을 통해 관광객의 지갑을 열게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영토가 넓지 않아 소위 ‘돈 되는 산업’이 지역별로 중복되는 최근의 국내 환경을 비춰볼 때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전북만의 관광자원은 타 지역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산업 자원이 빈약한 전북으로서의 관광산업은 가장 중요시되고 집중 육성해야 할 전략 산업이며, 특히 시대변화에 따른 온라인 관광 서비스 지원은 필수적 요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지는 민선7기 전북도의 ‘온라인 관광 서비스 운영 실태’를 점검, 대표적 문제점 지적과 함께 대안을 제시해 본다.<편집자 주>
민선7기 송하진 지사는 ‘여행체험 1번지 전북’을 올해 8대 역점시책 중 하나로 정하고, 관광 및 여행 산업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강조했다.
하지만 전북도의 관광 정책은 정부 주도의 전국 통합 정책 연장선이거나 기존 추진 사항의 보완 수준에 머무른다는 지적을 줄곧 받아 왔다.
특히, 시대 변화에 따라 관광객의 니드(NEED·요구)는 날로 변화를 지향하고 있지만, 그에 맞는 전북 관광 정책의 대응은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젊은 층을 붙잡고, 보다 편리한 관광을 위해 마련한 온라인 관광서비스 운영은 전북의 전체 관광서비스 정책의 신뢰도를 하락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도의 관광 온라인 서비스(웹, 앱, 플랫폼 등)는 다양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십여 개의 앱(어플리케이션)과 웹 등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지만, 산발적·중구난방적(부서별 또는 운영주체별)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서비스 대다수가 일반 인터넷 포털에서 검색 가능한 단순 정보 전달 수준에 그칠뿐더러, 그마저도 이 앱(어플리케이션) 저 앱에서 중복적으로 다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각 부서 및 운영 주체별(위탁 등)로 개발, 관리가 진행되다 보니 오류투성이의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지적과 함께 예산 낭비 및 실효성·접근성 하락이란 비난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행안부)는 각 지자체에 ‘앱 서비스 (성격별) 통·폐합 권고’ 지침을 내렸지만, 전북도의 일부 관계자는 이 지침을 ‘앱 서비스 개발·운영 지양 정책’으로 오인하다가 확인을 요청하자 ‘잘못된 자의적 해석’이었다고 설명키도 했다. 
실례로 A앱은 수개월째 정상 서비스가 진행되지 않았지만 해당 부서는 이를 인지하지 못했고,  지적에 따른 수정 후에도 개발업체의 타 앱과 충돌로 인해 정상적 서비스는 현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당초 5개년 계획에 따른 B앱 구축 사업(쌍방향 서비스 지원)은 1개년 사업 후 ‘이용자가 적다’는 다소 이른 지적으로 지난해 계획 사업이 전면 홀딩(보류)돼 소극·눈치·탁상 행정이란 지적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 서비스 중인 앱은 ‘부실·오류투성이’, 기대가 높은 앱은 ‘사업 보류’라는 난맥상을 드러낸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기존 앱들에 대해서는 전체적 검토를 통한 통폐합으로 효율성을 높여야 하고, 관광객 요구 등 추세에 따른 수준 높은 앱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한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