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상공인·영세 중소기업 지원 대책’ 일환으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 가운데, 보다 나은 효과를 위해서는 제약 해소와 편의성 제공 등의 정책적 활성화 방안이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원장 김선기)은 지난 5일 정책브리프 ‘지역경제 마중물,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 방안’을 통해 지역사랑상품권 지역동향, 전북 지역 실태 및 도민의식, 활성화 사례 등을 바탕으로 ‘전라북도 지역사랑상품권의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시했다.
도내에서는 김제시가 지난 2000년 최초로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한 이후 현재까지 6개 시·군이 상품권을 운영 중이며, 7개 지역은 올 하반기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발행 누계액은 지난해 말 기준 1335억 원이며, 올해 발행 예정액은 4303억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연구원이 도내 상가점포 900개와 소비자(도내 거주)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도민들은 ‘상품권이 지역상권 활성화, 지역자금 유출방지, 내고장 상품 소비촉진 등에 큰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권 ‘발행목적’에 대한 질문에 상가의 53.9%는 ‘지역상권 활성화’, 24.1%는 ‘지역자금 유출 방지’, 15.4%는 ‘내고장 상품 소비 촉진’, 5.7%는 ‘애향심 고취’라고 답했다.
소비자의 경우, 지역상권 활성화 54.7%, 내고장 상품 소비 촉진 19.2%, 지역자금 유출 방지 17.5%, 애향심 고취 8.7% 등의 입장을 보여 지역사랑상품권의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또, ‘활성화 요건’에 대한 질문에 상가의 경우, 홍보(30.0%)와 가맹점 확보(25.3%)를 시급 사항으로 꼽았고, 소비자들은 가맹점 확보(33.4%)와 홍보(23.8%) 순으로 답해 순위 차이는 있었지만 공통의 의견을 피력했다.
반면, ‘발행 및 사용범위’ 측면에서는 상가의 경우 기초(시·군)를 65.7%, 광역을 34.4%로 답했지만, 소비자는 광역 52.7%, 기초 47.3%로 희망, 서로 다른 의견을 표출했다.
이에 김수은 박사(연구 책임)는 ‘지역소득의 역외유출 방지와 지역경제 순환’이라는 지역사랑상품권 도입의 본질적 취지와 목적 측면에서 시·군은 자체적으로 상품권을 발행·운영하고, 광역에서는 상품권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하는 ‘상호 협력-연계’ 모델을 제시했다.
이는 14개 시·군은 상품권을 자율발행하고, 전북도는 활성화 지원체계 구축과 인지도 제고(홍보, 확산) 등에 힘써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박사는 실질적 상품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 편의성 증대 ▲인지도 제고 ▲활용 촉진 ▲제도적 기반 마련의 4가지 측면에서 9가지 지원과제를 제안했다.
지원과제에는 ▲다양한 결제수단 ▲가맹등록 및 환전 간소화 ▲이용 인센티브 제공 ▲조례 제정 ▲활성화 협의체 구성 등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이를 지역경제 마중물로 삼기 위해서는 사용자(가맹점, 소비자) 편의성 제고, 이용 필요성 인식 제고, 공급확대 및 활용 촉진뿐만 아니라 실행계획 수립, 추진상황 점검 및 개선 등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