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입장벽이 낮아 비교적 창업이 쉬운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의 과밀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의 경우 도·소매업 과밀화 비율이 강원에 이어 전국 2번째로 높게 나타나 치열한 경쟁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저생계비 미만을 버는 업체의 비중 또한 53.1%에 달해 지역상권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을 고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소기업연구원이 지난 9일 발표한 '전국 소상공인 과밀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도·소매업 소상공인의 75.57%가, 숙박·음식업 소상공인의 68.48%가 과밀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밀업종은 동일 업종 내에 많은 수의 사업체 존재로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가 됨으로써, 이들의 평균소득이 동일 업종의 근로자 평균임금보다 밑돌지만, 공급이 지속화되는 업종을 의미한다.

전북의 경우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두번째로 과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6,602개 업체 중 80.90%가 근로자 임금수준보다 낮은 상태로 전국 평균인 75.57%를 상회하며, 최하위인 강원(81.05%)과도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오히려 강원의 매장수(29,535개)는 전북의 매장수(36,602개)보다 적어 과밀화 체감은 전북이 훨씬 심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사업체당 평균 이익 또한 근로자 평균임금(약 3천1백만 원)보다 한참 밑도는 2천2백여만 원으로 집계됐다.

숙박·음식업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사업체당 평균 이익은 전국평균인 1천8백만 원보다는 높았지만 2천만 원이 채 되지 않는 1천976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과밀화 비중 또한 66.73%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지역이 가지고 있는 수요기반과 산업기반이 취약한 데에 기인한 것에서 비롯됐다.

전북의 경우 인구에 기반한 수요의 부족 및 신산업 부족에 따른 산업기반의 약화로 지역주민들이 생계유지를 위해 생활밀접업종인 도·소매업으로 몰리고 있어 과밀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과밀화 상태는 비단 전북 뿐 아니라 전국적인 현상으로 보여지고 있어 소상공인·자영업의 시장진입 속도를 조절하고 폐업으로 인한 애로를 해소해줌으로써 자영업 규모의 적정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전북소상공인연합회 김순규 사무처장은 "현재 소상공인연합회 측에서도 소상공인들의 지원 및 보호를 위해 다양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특히 '소상공인기본법'을 발의해 국회의 통과만을 기다리고 있다"며 "중앙과도 긴밀히 협력해 도내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구를 진행한 중기연구원 관계자는 "산업생태계 측면에서 지역별 산업기반 육성 및 신사업 발굴을 통해 인구유입에 따른 지역산업의 고용 창출로 소상공인·자영업 이외 분야로의 직업이동으로 생활밀접업종의 점진적인 과밀해소 대책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연구원이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대책'의 실효성 높은 정책집행을 위해 소상공인·자영업의 과밀화 현상을 수요와 공급, 그리고 영세성을 고려한 새로운 과밀지도를 가지고 생활밀접업종인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의 위주로 과밀지도를 작성해 분석한 것이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