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최근 일부 정치권을 중심으로 자행되고 있는 한국농수산대학 분교 추진 움직임에 대해 ‘전북혁신도시 뿌리를 근본부터 흔드는 일’로 규정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예 농어업인 양성’이라는 한국농수산대학(이하 한농대)의 설립 취지 및 정체성은 배제한 채 다가오는 내년 총선을 의식한 특정지역 정치인의 ‘외치기 식’ 공약 소재로 활용하려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기능적 특성과 지역전략 산업 및 혁신클러스터 연계를 기반으로 한 지역균형발전 도모 차원의 혁신도시 추진 대의에도 어긋나는 ‘저급 정치적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13일 자유한국당 최교일 의원(영주·문경·예천)은 한농대 분교 설치를 추진하는 ‘한국농수산대학설치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최 의원은 ‘국가균형발전과 영남권 전문 농업인력 양성을 위해 농업인구가 많은 영남권에도 국립농수산대학 설치(분교)가 필요하다’는 이유를 제시했다.
이전 5년차를 맞는 한농대의 경우 ‘농생명융합도시’를 목표로 하는 전북혁신도시의 구심점 기관으로 인근에 이전을 완료한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 등 농생명 관련 공공기관과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 대한민국 농생명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현재 한농대는 지역 농업과 농생명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지만, 아직 시설 공사가 전부 완료되지도 않는 등 당초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까지는 상당한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상태다.
이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대한민국 미래 농생명산업과 전북혁신도시의 경쟁력을 키워가야 할 중차대한 시기라는 것으로, 일부 정치인의 한농대 분교 설치 주장은 이제 겨우 기반을 갖춘 전북혁신도시의 뿌리를 근본부터 흔드는 일이라는 게 전북도와 대다수 정치권의 해석이다.
또, 학령인구 감소와 농어업인의 자녀수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교설치 주장은 대학 경쟁력 저하는 물론, 한농대의 설립 정체성도 위협하는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대다수 농업 전문가들은 (최근의 분교 추진 주장 명분인)‘균형 있는 지역별 농수산인력 양성 요구’에 대해 입시전형의 변경을 통한 보완을 주문하고 있다.
또, 농식품부의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2018년~2022년)대로 기존 농고·농대를 활용한 미래 농고 및 영농창업 특성화 대학의 도별 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면 지역별 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나아가 한농대 내부 인적 자원의 질적 수준 향상과 미래 고부가가치산업인 농업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우수 인력을 유치·육성할 수 있는 교육 인프라가 더욱 공고히 구축돼야 하고, 졸업생들이 각자의 지역으로 돌아가 지식을 환원할 수 있도록 정원확대도 적극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도 관계자는 “전북은 한농대를 중심으로 혁신도시에 집적된 R&D 기능과 ICT 농기계 및 종자 산업(김제), 국가식품클러스터(익산), 미생물산업(정읍), 스마트 농업용지(새만금)를 연결하는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를 조성해 전북혁신도시의 목적을 달성하고, 국가 농업경쟁력을 키워 나가고자 한다”면서 한농대의 구심적 역할을 강조했다.
한편, 도 안팎에서는 한농대의 분할 시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차원의 소재지 명시(전북 전주, 완주) 법안 개정안이 조속히 발의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