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예산 배정에 시군별로 최대 3배나 차이를 두면서 특히 동부권지역 6개 시군이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부가 예산의 중복투자를 줄이고 투자효율을 높이기 위해 예산을 일괄해 패키지로 지원하면 지역에서 자체 우선순위에 따라 원하는 사업을 선택해 추진토록 하고 있지만 전북도 배정 과정에서 시군별 쏠림 현상이 해를 더할수록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17년 전북도가 시군에 배정한 ‘균특회계 도 자율계정예산’ 가운데 가장 지원이 많았던 시·군과 최하위 시·군의 배정액은 313억 원과 155억 원이었지만 올해 들어선 이격차가 439억 원 대비135억 원으로 더 크게 벌어졌다. 그동안 내륙서해안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낙후도가 더한 것으로 평가되는 남원, 무주, 장수, 진안, 임실, 순창 등의 동부산악권 6개 시·군 대부분이 예산배정 최하위권으로 확인되면서 전북도가 동부권을 차별하고 있단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이유다. 전북도내에서 조차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한 예산 지원에서 차별을 두며 부익부 빈익빈의 규모만 확대시키는 건 균특회계 지원 본래 목적에도 맞지 않다는 주장이다.
물론 전북도가 입맛대로 골라서 시군지원에 차별을 두는 것으로 이해하진 않는다. 균특예산배정이 재정수요나 인구수를 감안하고 또 재정력이 취약하거나 산업위기지역 배려 등의 상황변화에 따라 기준이나 순위는 달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역시 지역발전을 위한 각종 사업발굴을 통해 예산을 요청할 경우 적극적인 지원을 해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동부산악권 6개시군 에만 4차선 지방도가 개설돼 있지 않는 등 기초 사회기반시설 조차 대부분이 열악한 상태인 것이 사실이다. 낙후지역인 동부권 발전의 안정적인 지원을 위해 지난 2011년부터 동부권특별회계를 신설할 정도로 도 역시 이 지역 지자체들에 대한 집중지원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도 정작 수치상으로 확인되는 지원규모에 있어선 전주권이나 서부권 지자체 보다 크게 못하다 보니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보다 깊은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동부권 특별회계 예산이나 지원분야, 낙후선정방식의 보완 등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 협력 못지않게 중요한 게 전북 권역 내에서의 갈등 없는 지속가능한 한 발전 방안을 찾는 것임을 잊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