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군산시가 지역 상생형 일자리 창출에 가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기존 공장 활용의 ‘군산형 일자리’가 신규 공장을 짓는 ‘광주형 일자리’보다 신속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또한, 성공적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기업 및 전략산업 위주 일자리 정책에서 중소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도와 군산시는 19일 군산대 이노테크홀에서 시민단체 및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전북-군산 상생형 일자리 노사민정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상생형 일자리 협약안 마련과 모델 확산을 위해 기획됐으며, 지역 의견수렴 등 공론화를 이끌기 위한 목적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송하진 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김경구 군산시의장을 비롯해 노사민정실무협의회 위원, 군산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회의 첫 발제에 나선 박병규 광주시 일자리특보는 “‘광주형 일자리’는 정부, 기업만 일자리를 만든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지역과 노동조합에서 일자리를 만든다는 생각으로 시작했다”면서 지역 일자리 4대 핵심 요소로 단체장 의지, 전담부서 전문가 영입, 일터 혁신, 사회적 대화 등을 강조했다.
채준호 전북대 교수는 “노사민정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일자리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단기간의 성과를 바라보기 보다는 기본을 다지면서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본격 토론에서는 민주노총 군산시지부 최재춘 지부장과 ㈜코스텍 이성기 대표 등이 토론자로 참석해 노사민정 모두가 지역의 고용위기를 극복하는데 뜻을 함께 하기로 했다.
토론자들은 ‘군산형 일자리’의 경우, GM 군산공장 등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광주형 일자리’보다 신속한 성과가 기대된다는 점에 공감했다.
별도로 GM 협력사(1, 2차)의 우수한 제조시설을 활용한 대체(인증)부품 산업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 등 다양한 아이디어도 제안됐다.
송하진 도지사는 “정부가 균특법 등 관련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상생형 일자리 2~3곳을 추가 발굴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는 만큼, 군산이 우선 모델에 선정될 수 있도록 시·군, 관계기관과 함께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에 맞는 상생협약안을 도출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역 노사민정 모두가 대타협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앞장서 주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한편, 도는 의제별 토론회를 통해 다음 달 말까지 실현 가능하고 구체적인 상생협약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인센티브 이외에도 자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센티브 패키지를 확정하는 등 산업부 공모가 시작되면 바로 대응한다는 로드맵도 마련해 놓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