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수수료’ 공개를 요구하는 CJ대한통운 일부 택배기사들의 파업이 장기화 되고 있다. 택배 물건 배달에 아직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파업에 참가하는 택배 기사들이 늘어난다면 심각한 국면에 처할 수도 있어 보인다.
전북 지역 CJ대한통운 택배기사들이 파업에 돌입한 날은 지난 14일. 이들은 ‘한국 택배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CJ대한통운의 노동착취 및 노동조합 탄압은 매우 심각한 실정’이라며 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이들이 밝힌 파업 이유는 배달 수수료 공개와 노동조합 인정 및 성실 교섭, 조합원 탄압 중단 등이다.
이 가운데 수수료 문제는 충격적이다. 현재 소비자가 지불하는 택배비용은 집하비, 물류회사, 대리점, 택배기사 등에게 분배된다. 하지만 대기업인 CJ대한통운의 대리점들이 단계별 수수료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파업에 참여한 기사들에 따르면 CJ대한통운과 대리점은 택배 물품과 크기와 무게, 배달하는 장소의 등급에 따라 다르게 비용을 책정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대리점은 이런 기준을 공개하지 않고 택배기사들에게 지급하는 배송수수료는 대략 건당 700원 정도. CJ대한통운과 대리점은 택배 물품의 상태에 따라 수수료를 정해 지급하는데 택배기사에게는 이런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일률적인 수수료만 지급하는 것을 옳지 않아 보인다. 택배기사들은 자신이 배달한 물건의 수수료가 어떤 기준과 비율로 나눠지는지 알 권리가 있다. ‘공개되지 않는 배송수수료로 인해 택배노동자들은 업체로부터 중간착취에 시달리고 있다’는 택배기사들의 호소가 무리하게 들리지 않는 이유다. 택배 노동자들의 ‘자신이 얼마나 일했고, 얼마를 벌었는지, 대리점에서 수수료를 얼마만큼 가져가는지를 알고 싶다’는 요구는 당연하다.
 택배기사의 비난이 틀렸다면 대리점은 배송수수료 내역을 공개하면 그만이다. 왜 이런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내역을 공개 안하는지 이유가 궁금하다. 택배기사에 대해 일방적인 우위에 있는 대리점들의 횡포라는 비난이 설득력 있게 들린다.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에서는 ‘갑질’에 대한 많은 반성이 있었다. 힘의 우위를 무기로 약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서 국민이 다 같이 분노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