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절벽시대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의 전북 4월 출생아는 800명으로 지난달에 비해 100명 늘어났지만 인국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4명으로 부산 5.3명에 이어 두 번째로 사실상 전국 꼴찌인 셈이다.
전국 평균 누계비도 -13.5%로 -14.7%를 기록한 광주에 이어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혼인도 2400건에 불과에 광역시를 제외한 지자체 가운데 가장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다.
전북의 4월 혼인 건수는 600건으로 강원 다음이었고 조혼인율도 4.1건에 불과에 전국 평균 4.7건에 못 미치고 있다.
결혼을 안 하니 아이 낳은 일도 없으니 전북 인구는 계속 감소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청첩장보다 부고장을 더 많이 받고 있는 현실은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의 터널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는 젊은 세대들의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부터 시작한다. 특히 전북은 변변한 기업체마저 없어 대학 졸업과 함께 실업자로 전락하고 있다. 일자리도 없고 연봉도 타 지역에 비해 뒤처져 있어 도내에 거주해서는 결혼조차 할 수 없다.
젊은 세대들이 고향을 등지고 남아 있는 청년들도 결혼을 기피하면서 고령화는 초고령화로 확대되고 있다.
인구절벽 위기는 도내 대학들에게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내 농어촌 학교 학생 수는 갈수록 감소하고 있지만 초중고는 의무교육이기 때문에 학생 수 감소의 부작용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대학들은 사정이 다르다. 이미 국립대인 전북대학도 미달학과가 나오기 시작했고, 학생 충원에도 벅찬 실정이다. 도내 대학들은 저출산 공포를 고스란히 겪고 있다.
도내 대학에 이어 저출산과 고령화 폭탄은 앞으로 어디를 향할 것인가. 도내 14개 시군의 존폐다. 인구가 줄고 있는 농어촌 도시에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비는 이미 도내 지자체 재정에 커다란 부담이다.
도내 지자체와 교육기관 등은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이 도내 지자체의 살생부로 다가오고 있다는 절박감을 갖고 인구절벽을 막는 사회적 기구를 만들어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