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경로당은 할머니 할아버지가 찾는 매우 중요한 공간이다. 할머니 할아버지는 이곳에서 친구들과 만나 소식과 정을 나누고, 외로움을 달래며, 식사도 해결한다. 따라서 경로당은 농촌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랑방이 되고 있다. 특히 농촌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경로당의 기능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요즘은 경로당에서 기본 건강검진 등을 받고, 교육도 받는다. 그럼으로써 농촌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경로당에 부식비, 냉난방비 등을 지원해 돕고 있다. 그런데 농촌지역의 복지환경은 아직 도심에 비해 매우 열악하다. 이에 국가인권위원회가 농촌 노인들의 인권 증진 방안으로 경로당의 복지기능 강화 조치를 보건복지부에 권고했다. 농촌지역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만큼 접근성이 우수하고 인지도와 이용률이 높은 경로당의 복지 기능을 강화하면 농촌지역 전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인권위는 또 농촌노인을 위한 평생교육 방안 마련도 권고했다. 2017년 인권위의 '농어촌 노인인권 실태조사'에 따르면 농촌노인의 25.3%가 학교에 다닌 경험이 없고, 인터넷 이용률은 8.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위는 농촌노인이 도시노인에 비해 인권교육 및 생활·안전 교육 등을 받을 기회가 부족해 인권침해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농촌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을 제공하고, 나아가 이를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인권위는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인권개선도 필요하다고 했다. 가부장적인 문화 등으로 여성농민의 가사 및 농업노동 부담률이 높고 은퇴연령이 늦는데 반해 농촌여성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노력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권위는 이에 더해 농촌 여성노인의 정책 수립 시 그들의 전 생애에 걸쳐 겪어온 성차별 문제와 노후의 삶이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분석할 것도 말했다. 이와 함께 인권위는 농림축산식품부에 홀로 사는 농촌노인들의 생활여건 개선을 위한 공동시설의 기준을 마련토록 권고했다. 이번 인권위의 권고는 매우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관계부처는 이를 수용하고, 빠른 시일 내에 이행계획을 세워야 한다. 농촌 경로당의 복지기능이 강화되는 것으로부터 농촌의 할머니 할아버지 삶의 질은 크게 나아질 것으로 믿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