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매출액을 기준한 전국 1000대 기업가운데 전북에 본사를 둔 기업은 14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보다 고작 3개가 늘어난 것으로 4개 기업이 새롭게 순위에 진입했지만 1개 기업이 탈락한 결과로, 과연 이 상태로 전북경제가 어떻게 버티는지 조차 의심스러울 만큼 취약한 경제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전주상공회의소가 지난 1일 발표한 전북지역 1000대 기업의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수자체가 바닥인데 따른 당연한 결과이긴 하지만 전체 매출액 규모에 있어서도 전국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액 2280조원 가운데 도내 기업들이 올린 매출액은 8조8483억 원이었다. 전국 매출액 비중 0.39%라는 초라하기 그지없는 수치다. 그동안 기업유치를 위해 노력해온 것은 알지만 지자체가 무능하고 정치권이 방관해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비난을 할 수밖에 없을 만큼 참담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전북의 모든 경제, 사회적 문제 발단의 시초는 어려운 경제에서 비롯되고 있다.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하기 위해선 최소한 자립경제가 바탕이 돼야 하고 이를 위해선 일을 해야 하는데 여기서부터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으니 문제를 풀 수가 없는 것이다.
더구나 전북 주요기업 대부분이 제조업이나 건설업에 집중되면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한계는 물론, 미래 성장 동력의 역할에 대한 기대조차도 하기 힘들단 점에서 우려감은 커져만 간다. 경기 부진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종이 적지 않고 철강이나 화학 등의 주력제조업이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더욱 그렇다. 
원하는 일자리 자체가 없으니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고 이는 필연적으로 지역경제기반의 부실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로 연결되어 진다. 그리고 정부가 관심을 갖고 특단의 대책을 내놓지 않는 한 이는 절대 바로잡을 수 없는 단계로 까지 내몰릴 수밖에 없다. 1000대 기업 본사 71%이상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몰려 있고 영남권에도 16.5%가 집중된 현실에서 어떻게 전북경제의 홀로서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말뿐인 지역균형발전은 이제 안 된다. 공공기관들의 지역혁신도시로의 추가 이전을 비롯해 지역을 옥죄고 있는 각종 규제 완화, 지원확대 등을 통해 기업들이 지방에 눈을 돌릴 수 있도록 이제 정부가 앞장을 서야 한다. 균형발전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뒤쳐진 지역을 궤도에 올려놓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