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거주민들의 지방이주에 대비한 전북도차원의 특화된 인구유입 정책이 필요하단 지적이다. 최근 통계청이 장래인구 특별추계 시도별 순이동 수(중위추계기준)를 분석한 결과 2019∼2047년 사이에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등 주요 광역시는 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도 지역에서는 증가세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화 과정이후 계속되고 있는 도시지역에 대한 인구쏠림 현상이 완화되면서 28년 후에는 도심인구의 지역 이동에 따른 인구분산과 재배치로 인한 도 단위 광역단체 기능 강화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통계청이 추계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도 단위 인구증가 예상치가 대부분 수십만 명 수준에 달하는 반면 전북의 인구 증가 수는 10만 명에도 못 미치는 고작 8만2천명이었다. 인근 충남 36만6천명, 전남 20만3천명을 비롯해 강원 23만6천명, 경북 20만6천명, 충북20만2천명, 제주15만7천명, 경남 10만9천명 등 도 단위 행정구역 가운데 꼴찌에 해당하는 가장 적은 수의 인구증가 예상 치다.   
그렇지 않아도 계속된 인구유출로 비상이 걸린 전북 입장에선 한참후의 미래 예측 통계라 해도 가능성 실현에 대한 기대를 가져보려 했지만 타도에 크게 못 미치는 미미한 수준의 증가치는 실망감을 주기 충분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학령인구(6~21세) 역시 이 기간 동안 전국 17개시도 가운데 가장 젊은 도시인 세종시만이 늘어나고 나머지 시도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지만 특히 여기에서도 전북 예상 감소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48.0%였다. 학령인구가 지금보다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것으로 외부의 절대적인 인구유입 정책이 추진되지 않는 한 전북도의 존재 자체가 부정될 수도 있는 우려가 과장이 아님이 확인되고 있다. 
도시거주 젊은 층이 치솟는 주거비에 부담을 느껴 대도시 인근 근교로 이동하고 또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 귀농귀촌의 본격화에 대비한 지역의 준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더욱이 전북처럼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불리하고 인구유입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반 자체가 취약한 지역의 경우 지역 확장을 위한 장기적인 대책이 최대 현안이 되고 있다. 전북만이 가진 희망 메시지가 전국에 확산되지 않으면 8만 명 인구증가 예측은 8만 명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인구감소의 빈자리를 메울 수 있는 중장기 인구 유입책. 지금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