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 간 ‘찾는 이’ 없던 새만금이 최근 장기임대용지 확대 및 국내기업 임대료 인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등의 굵직한 이슈(?)들로 기업 관심 증폭과 함께 실제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각종 사업들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정부와 정치권, 지자체 등의 전폭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투자유치 개선...기업유치 활발...장기임대용지 부족...정부 지원 절실
새만금산단의 국내기업들에 대한 장기임대용지 임대료가 관련법 개정으로 기존 5%에서 1%로 인하되고, 정부의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 등에 따라 최근 기업들의 실제투자가 급증 추세다.
장기임대용지는 현재 66만㎡(20만평)를 비롯해 내년에 33만㎡(10만평)가 추가 확보될 계획이다.
현재 6개사 19만㎡가 입주계약을 완료했고, 14개사 66만2000㎡가 추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입주계약은 지난해 1건에 불과했지만 올해의 경우 지난달 말 현재 6건이 완료됐고, MOU 또한 지난해 8건에서 올해는 상반기에만 8건이 진행되고 있다.
그만큼 새만금의 장기임대용지 임대료 인하 등의 지원 조치가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문제는 용지 부족이다.
새만금개발청은 우선 내년으로 계획된 34만㎡를 올해로 앞당겨 확보하는 방안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예산이 올 추경에는 반영되지 않은 상태지만, 정치권과의 공조를 통해 정부를 설득 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투자협약이 아닌 입주계약이 100% 완료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치권과 정부의 새만금 개발에 대한 의지 및 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새만금개발청,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유치 공식화...전북도 차원의 대응 함께 이뤄져야
새만금개발청은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유치를 통해 ‘아시아 데이터센터 허브’ 조성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최근 네이버는 주민 반대 등(전자파 유해성 논란)의 이유를 들어 경기도 용인으로의 제2센터 건립 계획을 취소했다.
이 소식이 알려진 뒤 전국의 자자체들은 제2센터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고, 새만금은 신재생에너지와 자율주행·전기차 등 미래 산업 육성 추진과 맞물려 최적지로 평가되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미 오는 2030년까지 축구장 460개 규모의 글로벌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새만금에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왔다.
일환으로 지난 4월 개발청은 ㈜케이티(KT), 새만금개발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새만금 아시아 데이터센터 허브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새만금은 초저가의 장기임대용지와 재생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함께 대도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민 민원 발생의 소지가 전무하다는 경쟁력도 갖추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개발청의 유치 노력에 전북도 차원의 지원과 정부의 임대용지 확보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