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일본의 보복성 무역제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본격적인 외교전을 펼치는 분위기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주요 경제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 대응 방안을 논의한 데 이어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을 미국에 급파했다.

통상전문가인 김 차장을 통해 대미 여론전에 힘을 쏟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전날 기업인 간담회에서 현 상황을 ‘비상상황’이라고 규정하고, “양국의 경제에도 이롭지 않은 것은 물론 당연히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므로 국제적인 공조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며 외교적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일본과의 양자협상이 막혀 있는 상황에서 김 차장의 방미는 한일 갈등 국면에 미국이 중재역할을 맡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를 바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미 공조 제스처를 통해 일본의 추가 규제조치에 압박을 주는 카드도 된다.

아울러 일부에서는 대일특사 파견을 통한 돌파구 모색도 언급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전날 대정부질문에서 대일특사 파견 입장을 묻자 “공개하기는 어렵지만 외교적 노력이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특사 파견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올 정도가 되면 말 할 수 있는 것”이라며 고심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일본에 강제징용 배상판결과 관련해 협상안을 제시했다는 일부 매체의 보도와 관련해서는 “사실무근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외교적 노력과 더불어 민관 상시소통 협의체를 가동하며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경화 외교장관도 전날 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통화하고 일관과 외교를 통한 외교적 해결을 위해 노력해 나가는 등 한일 관계 등에 논의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정부는 또 오는 23일부터 열리는 WTO 일반 이사회를 통해서도 일본 무역 보복조치의 부당성을 설명할 예정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지난 1일 반도체 디스플레이 핵심부품에 대한 수출절차 간소화를 폐지하는 등 수출규제를 발표했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