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효과 제대로 검증할 때 됐다
전북도교육청이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혁신학교 효과극대화를 위해선 전북차원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구 설계와 정밀지표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혁신학교 운영에 대한 평가 방법이 학교 구성원에 대한 설문조사나 사례보고 등에 그치면서 제대로 된 평가도 없이 전북교육청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끌고 간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 만큼 모두가 공감할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 됐기 때문이다.
전북교육청도 내년 추진을 목표로 혁신학교 교육이 학교와 교사와 학생을 어떻게 달라지게 했는지를 수치화, 정량화하는 연구를 진행키로 한 상태다. 하지만 그간 전북은 타시도와 달리 혁신교육정책 효과의 장단점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데이터나 자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교육환경이나 정책의 반영도를 감안한 전북교육만의 특수성을 면밀히 점검하고 분석하기 위한 작업에 소홀해 왔기에 그렇다. 내년 연구를 보다 내실 있고 심도 깊게 진행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혁신학교는 획일적인 공교육 커리큘럼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2009년 경기도에서 시작됐고 2010년 전북, 서울, 광주, 전남, 강원 등 6개 지역으로 확산됐다. 당시 이들 지역 교육감들이 진보 성향이었다는 점에서 혁신학교는 ‘진보교육감의 상징’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입시경쟁에 시달리는 학생들에게 함께 배우는 교육을 실천하고 교과과정의 자율화, 토론중심 수업 등을 지향하는 혁신학교는 분명 이상적인 교육의 현장이다. 공교육 정상화와 다양화란 측면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이런 교육이 결국 모든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마주해야할 한국의 최종 입시과정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은 여전하다. 학교성적과 학생부기록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입시제도는 그대로 인데 진보교육감들의 ‘교육실험’에 내 아이를 맡길 수 없다는 학부모들의 반발도 여전하다. 혁신교육이 결국 치열한 입시경쟁에서 독이 될 것이란 학부모들의 판단은 혁신학교가 없는 지역으로 이사라도 가야 한다며 ‘신맹모삼천지교’란 말까지 만들고 있다.
13개로 시작한 혁신학교가 전국적으로 1714개로 늘면서 중·고교생기초학력 미달비율이 3%선에서 2018년 기준 6.6%로 높아졌다. 혁신학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전혀 연관이 없다고 말할 근거도 없다. 혁신학교의 효과를 제대로 검증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