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를 비롯한 17개 광역시·도와 20개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지난 20일 서울시청사에서 ‘2019 지방정부 청년정책 협력포럼’을 개최하고 청년문제 해결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협의회는 ‘지방정부-청년 공동실천 선언문’을 통해 지역주도 청년 정책 논의와 실천을 위한 사회적 기구 구성을 비롯해 지방정부 차원의 청년정책 포럼 정례화, 청년정책 역량공동 사업추진, 청년기본법제정 및 협치체계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사업을 지방정부차원에서 추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청년대책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부와 국회의 관심과 참여도 아울러 요구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축전을 통해 대통령비서실내 청년소통정책관과 희망사다리 정책 등을 통해 청년정책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지자체들이 공동 선언문을 내고 정부 대책과 정책적 대안 마련을 요구해야 할 정도로 지방이 느끼는 청년문제는 심각하다. 통계청이 밝힌 지난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말 기준 미취업상태인 청년층(15~29세)은 154만1000명으로 2007년 관련통계를 시작한 이후 최다였다. 높아진 취업문턱을 넘지 못해 구직을 포기하는 청년층이 증가한 것으로 특히 취업자 절반에 가까운 45.3%는 월평균 150만원도 받지 못해 평균근속연수 역시 짧아지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 찾기가 힘들어지고 있음이고 그나마 일자리조차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지방 청년문제는 어렵다 못해 최악이다.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출산 장려금을 지금해온 군단위 지자체 들이 이젠 ‘결혼장려금’까지를 지급해 가며 청년층 붙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9월 이제도를 전국에서 처음 도입한 장수군은 적격한 신혼부부에게 결혼축하금 1천만원 지원, 전입 가구 지원, 고교생 학자금 지원을 해주는 것은 물론 지역 인구 증가에 공을 세운 기관·기업에도 지원금을 줄 정도다.
아기 울음소리가 그치고 청년이 지역을 등지는 지방 현실을 정부는 직시해야 한다.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 청년문제는 결국 국가경제와 직결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지방이 무너지면 그 다음은 국가지만 지방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엔 이미 역부족진지 오래다. 정부가 나서야 하는 이유다. 말뿐인 정책남발이 아니라 청년들이 지역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는 피부에 와 닿는 실천적 청년정책이 정말 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