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이르면 다음 달 말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가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 대응전략을 마련·추진한다.
특히, 지역의 강점인 탄소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 아래, 장·단기적 전략 마련과 관련기업 지원 방안 등을 수립하는 한편, ‘위기가 곧 기회’라는 인식을 통해 정부와 국회를 대상으로 한 안보자원화 차원의 탄소산업 투자 활성화 지원책 등도 적극 요구할 방침이다.
도는 25일 “도내 대표 탄소기업(10여 개 사)을 대상으로 피해 예상과 각 사의 자구책 등을 파악하고, 산업부와 함께 현장조사 및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쳐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한 대응전략을 마련·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현재 각각의 탄소 (대표)기업들은 재고 확보 및 수입다변화, 국산화 개발 등 대응책을 마련 중에 있고, 일부 기업은 올해 필요한 수입품목들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도는 단기 전략으로 전북중기청과 중진공, 전북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일본 수출규제 애로센터’를 설치·운영(지난 15일부터 가동)하고 있으며, 도내 관련기업 137개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와 함께 센터 적극 이용을 독려하고 있다.
장기 전략으로는 효성의 추가 투자와 기업 간 상용화 연구개발(R&D) 유도, 핵심소재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통한 탄소소재 자립화 기반 마련 등 국산 탄소시장을 확장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다음 달 발표 예정인 정부의 ‘소재·부품산업 발전방안’ 계획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탄소발전위원회와 탄소조합 등을 통해 대응 체계도 마련 중이다.도 관계자는 “전북도는 이번 위기를 미래 신성장동력인 탄소산업이 안보자원화 차원에서 장기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기회로 보고 있다”면서 “국가차원의 컨트롤 타워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설치 등 탄소산업에 대한 정부 및 국회의 관심과 지원이 부각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탄소산업진흥원 설치를 위해 지난 2017년 8월 발의된 ‘탄소소재 융복합기술 개발 및 기반 조성 지원에 관한 법률’은 지난해 2월 국회 해당 상임위(산자중기위)를 통과했지만, 같은 해 5월 법사위 문턱을 넘지 못하고 현재 제2소위에 계류 중인 상태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