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신항만 건설사업이 국가재정사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동북아 물류기지 중심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게 됐다. 새만금국제공항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에 이은 새만금 신항만 건설 확대 추진 결정은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새만금사업 추진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됐단 점에서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기재부는 전북도의 국가재정사업 추진요구에 대해 새만금 내부개발 지연, 항만시설 공급 과잉 이유를 들어 민자를 통한 사업추진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막대한 사업비를 부담할 민간사업주체를 선정하기 쉽지 않고 이로 인해 부두개발 지연이 기업유치 차질로 까지 이어지는 상황을 맞게 됐다.
정부개입과 신속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자체와 정치권의 강력한 요구가 있었고 결국 해수부는 기본계획 변경을 통해 새만금 신항만 부두 시설 규모를 현재 2~3만 톤급에서 5만톤 급으로 확대하고 1단계 사업인 부두 2선석의 민자유치 사업을 국가재정사업으로 전환, 사업비 4천226억원을 투입하는 결정을 내렸다. 새만금사업 성공은 신공항과 함께 신항만 건설을 통한 상호보완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때 가능하단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만은 분명하다. 신항만과 국제공항은 새만금 사업의 성공과 세계화를 위해 반드시 갖춰야할 필수적인 SOC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중심의 경제성장 전략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새만금이 가진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정부 지원과 관심이 절대적이다. 그리고 새만금이 미래 한국을 책임지게 될 최대의 국가현안사업임도 이미 분명해 졌다.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제 겨우 개발이 시작된 새만금에 대해 당장의 경제성과 효율성만을 따진 근시안적인 자세는 버려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때로는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봐야 함에도 정부가 이번 1단계 2선석 건설 이후 사업에 대해 벌써부터 민자 유치 운운하는 것은 그런 의미에서 또 다른 아쉬움을 주기 충분하다. 지역균형개발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이 새만금에 담겨 있음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해서다.
 새만금을 아시아의 중심, 세계가 주목하는 경제중심지로 키우겠다는 게 의지만으로 될 일인가. 적극적이고 과감한 정부지원이 있어도 쉽지 않은 일이다. 정부의 사고의 전환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