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들이 ‘지역 상생형 일자리’를 활용한 ‘전기차 메카 육성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전북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내년 4월 총선 정국을 앞두고 각 지자체 전기차 관련 추진 정책들의 지역 공약화 가능성이 큰 만큼, 타 지역보다 비교우위에 설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전기차 기반 지역형 상생형 일자리 추진 현황을 살펴보면, ▲광주형(전기 완성차) ▲구미형(전기차 배터리 소재) ▲군산형(전기 완성차 및 부품) ▲울산형(전기차 부품) ▲강원형(전기 완성차) ▲포항형(전기차 배터리) ▲경주형(전기 완성차) 등 7곳에 달한다.
일각에서는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특정 업종 편중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이들 지역이 완성차(규모별 상이)와 부품, 배터리 등 전기차와 관련한 서로 다른 분야별 특화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업종 중복에 따른 지역별 경쟁 및 자원 낭비라는 지적에는 자유로울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전기차 메카 육성을 밝힌 지역들 상당수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LG화학, 포스코케미칼 등 대기업을 제휴기업으로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중소기업 주도의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객관적 비교에서 뒤쳐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게 사실이다.
타 지역들과 비교할 때 실질적으로 정책 및 사업 등을 이끌고 주도할 소위 ‘앵커기업’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반면, 한국 GM 등 대기업의 ‘무책임(?)’ 경험을 회상하며, 대기업 위주의 모델이 곧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상당한 상태로, 우수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의 연대(컨소시엄)가 지역 상생형 일자리의 명분을 가장 잘 살린 형태라는 주장도 있다.
결국, 제시 모델들이 잘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조속히 뒷받침 돼야 하고, 기업과 지자체들의 경쟁력 방안 확보가 우선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주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북만의 경쟁력 확보 시급’ 목소리는 일정부분 타당성이 있다는 여론이다.
정부 주도 아래 전국적인 ‘지역 상생형 일자리’ 확산 분위기에만 맞출 것이 아니라 타 지역과 분명한 차별성이 있는 경쟁력을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너도나도 전기차 모델을 제시하는 현 상황에서 우위에 설 수 있고, 향후 지역 간 경쟁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북(군산)은 옛 한국 GM 군산공장 인수 기반의 엠에스그룹(컨소시엄) 전기완성차 생산 계획과 새만금산단 중심의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 연합(에디슨, 대창모터스 등)을 하나로 합친 ‘전기(완성)차 클러스터’를 지역형 일자리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군산형 일자리는 한국 GM 군산공장 전격 폐쇄(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포함)에 따른 주력산업 붕괴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올 초 광주형일자리(전국 최초)에 이은 2번째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전국적 관심을 모았다.
전북도 관계자는 “현재 군산형 일자리는 성공적 모델 창출 및 제시를 위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취합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고, 대부분 긍정적 평가를 내놓고 있다”면서 “국회의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이 조속히 이뤄질 경우, 타 지자체와는 차별화 된 전북만의 모델이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