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친 1.04명을 기록했다. 전주와 무주는 이미 ‘출산율 0명대’에 진입했다. 통계청이 내놓은 ‘2018년 출생 통계(확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합계출산율은 광역시와 경기도를 제외한 8대 지방도시 중 가장 낮았고 특히 전주는 0.95명, 무주는 0.91명으로 최악이었다. 도내 14개 시군 중 순창, 진안군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 모두가 초저출산(1.5명)상태 였다. 마을 공동체 붕괴가 가속화되면서 지방소멸이 현실화될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이미 쇠퇴지역으로 분류된 도내 읍면동의 77%는 심각한 존폐기로에 놓일 것이란 전망이다.
물론 출산율 저하가 전북의 문제만은 아니다. 지난해 한국 합계출산율도 0.98명으로 출생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가임기간(15~49세) 여성의 평균 출생아수가 1명도 안 된다는 것으로 인구유지에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도 못 미친다. 중국의 행정자치구인 마카오를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유일의 ‘출산율 1명 미만’ 국가인 셈이다.
그동안 역대 정부가 저 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쏟아 부은 예산안 100조원이 넘는대도 결과는 효과 없었음으로 요약된다. 도를 비롯한 지자체 차원의 출산장려정책 역시 저 출산 기조를 막지는 못했다. 저 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이미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고 지방정부차원에서도 주요정책 목표로 정해 대안과 대책을 추진했지만 ‘출산은 부담’이란 부정적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2025년 1명대 수준회복을 목표로 하는 정부지만 현재로선 ‘불가능한 가능성’이다.
인구감소는 국가경제 위축과 직결될 수밖에 없다. 생산과 소비 감소가 결국 재정위기를 가져오며 다시 고용이나 복지에 충격을 주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는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지금 상황을 감안할 때 이민자나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이는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이미 3D업종은 외국인 노동자가 없으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한다는 말까지 나올 만큼 이미 인구감소 위기는 산업계 전반에 까지 확산된 상태다. 
당장 먹고사는 문제가 힘들고 만성적인 취업난에 희망마저 잃어가는 현실이 근본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출산기피 현상은 심해질 수밖에 없단 점에서 더욱 우려스럽다. 눈앞에 닥친 인구재앙이다. 그리고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 소멸 다음은 국가다. 총체적인 인구위기에 맞설 범국가적인 차원의 강력하고 장기적인 저 출산 대책 수립에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