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 방치된 빈집을 주거공간, 문화·복지공간, 경제활력공간으로 활용해 도시재생 활성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3일 이슈브리핑 ‘빈집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를 통해 인구감소와 지역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빈집을 활용해 주거수요를 창출하고 지역의 혁신과 활력을 이끌어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전북에는 총 9763호의 빈집이 있으며 농촌지역(7761호)이 도심지역(2002호)에 비해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원은 9763호의 빈집 중 3944호(40.4%)는 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리모델링 등을 통해 주거, 문화복지, 지역활력 등을 위한 도시재생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빈집을 방치하면 마을의 흉물이 되고 마을의 전반적 분위기를 침체시키는 근원이 되는 반면, 이를 수리하고 리모델링하면 도시재생의 지역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빈집을 주거취약계층의 주거공간으로 제공하거나 지역커뮤니티 시설 및 노인 돌봄의 노인복지 시설 등의 문화·복지공간, 지역의 활력을 높여주는 청년들의 창업공간 또는 지역예술가의 작업·전시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 활력 제고에 기여하도록 제안했다.

그러면서 서울의 ‘빈집 살리기 프로젝트’, 경남의 ’더불어 나눔주택‘, 목포의 ’어르신 한울타리 행복주택‘과 ’빈집 갤러리‘, 공주의 원도심 주차장, 일본의 카페, 체험형 숙박시설, 지역 커뮤니티공간 등 빈집을 지역의 여건과 수요에 맞게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

서울의 경우 주택당 총 비용의 50% 이내에서 4000만원 이하를 서울시가 지원하고 비영리 법인이나 민간단체가 리모델링해 임대료 인상률 5% 이내의 제한 조건으로 사회초년생, 대학생 1인 가구에게 주변 시세의 80% 이하로 최장 6년간 임대했다. 사업을 통해 2016년 총 160호를 공급했다.

목포시의 ‘어르신 한울타리 행복 주택, 빈집 갤러리’ 사업은 우울증 및 고독사 등의 위험에 노출된 독거 노인 3~4명이 함께 어울려 생활하는 공동 주거 공간 조성 사업으로서 개소당 2000만원과 운영비 800만원을 투입해 빈집을 리모델링해 공급했다. 사업은 원도심의 빈집을 예술 창작 공간이나 청년 창업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수리, 지역 작가들의 전시 공간과 관광객들의 휴게 공간으로 활용됐다.

오병록 부연구위원은 “빈집 실태를 조사하고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추진 기틀을 다져 수요자와 공급자가 빈집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며 “사회적경제 조직의 참여를 유도해 빈집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세금감면 등 제도를 개선, 도시재생 활성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