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하위 경제권에 바닥수준의 소득, 버는 돈이 없으니 소비도 못하는 쪼들리는 전북의  경제수준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통계청이 지난 5일 기준년도를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바꾸고 2012년 7월 출범한 세종시를 충남·북에서 분리해 통계를 조정하는 등 보완작업을 거쳐 발표한 ‘지역소득통계 2015년 기준 개편결과’에서 나타난 전북의 경제 현실은 예나지금이나 ‘어려움’으로 요약됐다. 
전북 개인소득 1706만원은 전국평균 1920만원보다 11.2%나 낮아 꼴찌인 전남 1704만원 다음이었다. 광주광역시 1893만원을 제외한 것인 만큼 사실상 전주를 포함하고 있는 전북의 개인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낮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수치다.
특히 심각한 경제침체와 이로 인한 경제소득 하락은 개인의 지출 감소로 이어졌다. 2017년 1인당 민간소비 최다였던 서울은 2020만원 이었지만 전북은 1496만원에 불과했다. 전남(1496만원)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낮은 지출수준이다. 전국평균 지출도 1700만원이다. 즉 한국인이 평균 1920만원을 벌어 1700만원을 쓰고 있으니 전북인은 전국 평균이하의 삶을 살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지역 총생산도 2017년 기준 49조3천억 원으로 전국(1840조3천억 원)대비 2.28%을 점하는데 그쳐 역시 도 단위 지자체중에서 강원의 45조5천억 원에 이은 뒤에서 두 번째였고 지역별 경제성장률을 나타내는 실질 지역 내 총생산도 전국 평균 3.1%가 성장했지만 전북은 1.9%로 평균치에 미치지 못했다. 현재도 그렇고 미래의 경제 전망 또한 밝지 않음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군산조선소와 GM군산공장이 문을 닫으며 고임금 근로자들이 감소하고 이로 인한 여파가 전북경제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취약한 지역경제구조로 인해 좀처럼 재도약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음은 부인 못할 사실이다. 지역의 생산시설이나 규모가 커지지 않는 한 지역 경제 총생산이나 수입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당장 주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안 마련이 쉽지 않은 점은 더 큰 문제이자 미래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전국 2%수준의 전북경제’ 현실을 더 이상 방치하면 안 된다. 한계를 넘기 위한 지자체의 깊은 고민과 함께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지금 서둘지 않을 경우 고착의 단계를 넘어 악화수준으로 치닫는 건 시간문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