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출신 은성수 금융위원장 취임과 함께 혁신도시 금융 및 정주여건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이 속속 추진되면서 전북의 숙원인 제3금융중심지 지정에 대한 기대가 한 층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수탁업계 1, 2위 금융기관들이 전북 혁신도시에 잇따라 안착하면서 금융중심지 ‘선(先)지정 후(後)보완’이란 이전 부산과의 동일 모델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정치권을 중심으로 주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전북 제3금융중심지 조속 지정을 위해서는 현실적이면서도 정치적, 명분적 전략을 담은 구체적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전북도 안팎에서는 전략(?) 차원의 정치적·지역적 연대 구도 아이디어도 제시되고 있다.
최근 사직한 이원택 전 도 정무부지사는 지난 (1차)금융중심지 추진 당시에 구축된 부산과의 적대적 대립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며, 부산과 전북의 연대를 통한 기득권(서울 중심) 설득으로 현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전 부지사는 부산과 전북은 엄연히 다른 특화 기반을 바탕으로 금융중심지를 조성하려는 것이라면서 한 때 논란이 된 산업은행이나 수출입은행 등은 부산으로 이전해도 그만 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대결구도는 ‘부산-전북’이 아니라 ‘지역(부산+전북)-기득권(서울)’이 돼야 하는 것이며, 이는 국가 및 지역균형 발전이란 명분에도 맞는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나아가 이 부분은 현 부산시 고위직과도 의견을 나눈 사안이며, 그 쪽도 긍정적 입장을 내비쳤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도 내부에서는 이 전 부지사의 지역 연대 아이디어에 ‘이상적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도의 한 관계자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좋은 이야기라고 본다. 하지만 이는 이상적 이야기에 불과한 것으로 말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면서 “연 초 부산과의 대립 구도는 우선 전북이 ‘금융’을 통해 커지는 부분을 견제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현재 서울과 부산도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지정 자체가 1,2금융중심지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란 분석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전북 제3금융중심지는 국정과제에 포함된 현안으로, 지난 4월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가 권고한 전북의 부족 부분을 최대한 구축하는 것이 도의 목표”라며 “현재 금융센터 조성 등 인프라 조성이 한창인 만큼, 시간을 두고 보완하면서 지정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후보자 신분 당시 “금융중심지추진위가 지난 4월 전북에 지정을 위해서는 준비가 더 필요하다고 보고 금융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권고한 것으로 안다”면서 “권고한 대로 해당 지자체가 착실히 준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 기득권 측에서는 원론적 입장 표명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전북이 추진 중인 인프라 구축 등의 노력에 대해 힘을 실어준 것 아니냐는 평가도 제기되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내년 총선을 통해 현재 전북 기반의 의원이 한 명도 배치되지 않은 국회 정무위에 지역 출신 의원이 1~2명은 반드시 투입돼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정치권의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