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농가소득 증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연히 부채는 줄어들었다. ‘농가소득 5천만 원 시대’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간 것으로 그동안 도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해 왔던 ‘삼락농정’의 효과가 큰 몫을 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전북 농가소득은 전년보다 28.0%가 늘어난 4509만원이었다. 전국 평균증가율 10.0%포인트를 훨씬 뛰어넘는 전국 1위의 증가율이었고 농가소득 역시 2017년 전국 9위에서 3위로 6단계나 상승했다. 농촌관광산업이 특화된 제주도와 수도권인 경기도를 제외하면 전국최고 수준이다. 당연하지만 소득이 늘면서 부채는 감소추세다. 2017년 전국3위였던 부채 규모가 지난해 7위로 낮아진 것으로 전북 민간 농업경제가 선순환의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는 긍정적 시그널임은 물론이다.  
전북농업의 성장은 지자체 최초로 ‘농산물최저가격 보장제’를 시행하고 파프리카 등 시설원예 중심으로 농업구조를 다양화한 것이 디딤돌이 됐다. 여기에 로컬 푸드 활성화를 통해 지역농산물에 대한 강한 믿음을 심어주고 특히 농민을 중심으로 한 협치 농업인 ‘삼락농정’을 적극 추진한 전북도 의지가 더해지면서 농업소득 향상의 기틀이 마련됐다. 
농업이 근간을 이루던 시절 지역의 자부심이었던 ‘농도전북’이 한때 산업화에 밀려나며 낙후와 부정적 이미지로 자리매김 했던 적도 있었지만 최근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농업은 재조명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시기에 전북도가 민선 6기부터 역점사업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농촌, 농민, 농업이 즐거운 ‘삼락농정’의 실천과 자리매김을 위해 추진한 정책들이 하나 둘씩 효과를 내고 있음은 분명 인정받을 일이다.
우리의 농업 환경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고 농업생산 비중 역시 감소 추세다. 하지만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식품업 관련 부가가치 규모는 우리나라 경제 전체의 10%에 달하는 130조원에 달할 만큼 농림어업은 아직도 절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더욱 관심을 갖고 미래 산업 불루오션으로 농업관련 산업을 정책의 우선순위에 두고 다뤄야 하는 이유다. 농업생산의 활성화 통한 농가소득 증대는 곧 국민경제회생의 한 축임을 잊어선 안 된다.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정책개발과 추진의지를 다시 한 번 당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