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피싱 범죄가 갈수록 더 교묘하고 지능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벌써 10년 이상 이에 대한 경각심을 알리고 예방을 위한 많은 노력이 전개되고 있지만  피해가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피해 건수와 금액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협박 등을 통해 단순한 계좌입금 요구가 대부분 이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엔 ‘010 발신번호 조작은 물론 금감원이나 경찰청 전화번호가 사기범에게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화가로채기 앱’까지 등장 할 만큼 진화되면서 속수무책으로 보이스피싱 범죄에 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심지어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이 인기를 끌자 이에 편승한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려 정부까지 나서서 주의를 당부할 정도로 전화금융사기는 우리 허점을 파고들고 있다. 실제 지난해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보이스 피싱 피해건수는 2187건에 금액만도 126억 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대비 피해건수로는 46.7%, 금액으론 무려 81.4%가 각각 늘어난 수치다.
전북도와 전북지방경찰청, 금융감독원전북지원 등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예방을 위해 관내전광판에 피해예방 영상물을 내보내고 각 읍면동사무소를 통해 피해 예방요령을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피해근절에는 한계가 있단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더욱이 보이스피싱 피해에 예외는 없다지만 특히 쉽게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노출된 도내 농어촌 거주 주민이나 어르신, 장애인, 소외계층 등이 자칫 이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게 될 경우 감당해야할 부담은 우리의 상상이상이 될 수 있단 점에서 각별한 대책이 아쉬운 상황이다.
전직 광주시장도 속아 넘어 갈 만큼 조직화되고 대담해 지는 보이스피싱이다.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고 아무리 조심하고 주의를 기울인다 해도 잠깐의 허점도 놓치지 않는 서민을 노리는 최악의 범죄다. 언제든 나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지는 것과 함께 사회적 약자를 주 타깃으로 삼고 저지르는 최악의 못된 범죄란 점에서 보다 강력한 처벌이 필요한 이유다. 범죄가 줄이 않고 오히려 늘고 있다는 건 지금까지의 대책이 실효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는 것 아닌가. 보이스피싱은 경제범죄인 동시에 간접살인에 버금가는 극악한 범죄임이 분명하다. 사법당국의 보다 강력한 처벌의지를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