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6월 한국GM 군산공장을 인수한 명신 컨소시엄이 오는 2021년부터 전기차 생산을 위한 첫 계약을 성사하며 군산공장을 활용한 지역 경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한국GM 군산공장의 잇따른 폐쇄로 패닉 상태에 빠졌던 군산 주민들로선 여간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명신은 2021년부터 연간 5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생산해 퓨처모빌리티에 납품하며, 이 차량은 중국을 거쳐 유럽과 미국에 수출된다고 한다.
더욱이 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량을 늘려 약 900여명의 인력도 고용할 것이라고 하니 침체된 군산지역 경제에 활력이 더해질 것이란 기대감이 팽배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사업 초기 고용 창출 등 투자 효과는 예상되나 중국 전기차가 내수 안방을 위협하면 국내 제조 기반에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을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물량을 맡기는 중국 업체가 향후 국내 부품사 참여를 제한하고 중국산 부품을 늘리는 식으로 나오면 국내 자동차 산업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OEM 방식의 위탁 생산과정에서 높은 기술력을 가진 국내 부품사들의 참여를 높이는 방식으로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제언도 있다.
그러나 지금 중요한 것은 한국GM 군산공장을 인수로 ‘광주형 일자리’의 차기 모델로 추진되는 ‘군산형 일자리’에도 큰 도움이 될 거란 것이다.
최근 전북도와 한국GM 군산공장을 인수한 명신, 한국노총·민주노총 등은 군산 일자리 위원회를 열고 근로시간 계좌제 및 우리사주제 등 선진적 임금체계 도입, 갈등 발생 때 5년 간 상생협의회 조정안 수용 등 노사 상생협약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형 일자리처럼 상생형 일자리 모델의 틀을 만들고, 지방정부가 주거 등 복지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군산형 일자리’가 지역경제의 효자로 거듭나려면 인수업체인 명신과 전북도, 군산시, 지역 주민 등 지역공동체, 노동계 등의 협력과 지원이 어느때보다 절실하다.
앞서 우리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 논의 과정에서 봤듯이 사회적 대화를 통해 지역 상생 모델을 만들어 내는 것이 쉽지 않은 것처럼 ‘군산형 일자리’의 성공을 위해선 이해 당사자들의 대승적 양보와 절충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