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사회적 문제로 크게 대두되는 것이 치매다. 치매는 주로 노년기에 많이 생기며, 현재 심장병, 암, 뇌졸중에 이어 4대 주요 사인으로 불릴 정도로 중요한 신경 질환이다. '알쯔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등 종류도 많고 그로 인한 부작용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치매는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주는 병이다. 치매 환자를 둔 가족은 환자의 신체적 건강을 위해, 기억력 상승을 위한 취미활동 보조에, 종종 사회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각종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대화하고 목욕시키고 옷 입히고 식사를 돕고 실종을 막고 병원을 방문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가족 1~2명이 나서도 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는 곧 사회 전반에도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치매로 인해 본인과 가족까지 우울증이 걸리고, 기나긴 시간을 인내해야 하며, 경제적으로도 파탄을 내는 게 보통이다. 그럼에도 완전한 치료가 불가능한 게 치매이며, 다양한 합병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결국,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은 유지될 수 없게 되고, 암울한 분위기가 사회로 전이된다.
보건복지부의 치매 진료형황에 따르면 전북에서 치매를 이유로 진료를 받은 인원이 2014년 2만6,663명에서 2018년 4만2,352명으로 5년 새 5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이 고령화가 심한만큼 인구대비 치매환자 비율도 전국 2위이다. 이 기간 진료비만도 역시 1,055억여원에서 1,675억여원으로 58% 이상 늘어났다. 이 기간 진료비 누계액도 6,778억원에 달한다. 치료, 요양 등을 뺀 진료비만 이정도이니 나머지 기간 가족이 치러야 할 비용은 천문학적일 수밖에 없다.
치매는 누구의 가족에게나 닥칠 수 있는 질병이다. 때문에 검진에서 치료, 요양에 이르기까지 국가적 차원에서의 세심한 설계와 관심이 필요한 분야다. 더욱이 고령화되면서 치매 환자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요즘에는 모든 것을 고려한 다양한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이 중에서도 가족들의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문재인 정부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표명해 왔다. 그런 만큼 환자와 가족들의 비극을 근절하고, 치매환자 부양을 가족이 떠안아야 하는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