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덕진구에 사는 권모씨(28세, 여성)는 최근 쓰고 있는 애플 휴대폰의 액정이 깨져 수리를 맡기기 위해 공식 서비스센터를 찾았다가 긴 대기시간에 지쳐 그냥 나올 수 밖에 없었다.

권씨는 "액정의 경우 사설 서비스시설에 맡겨도 되지만 정품 부품이 아니어서 추후에 다른 수리를 받거나 아니면 중고로 되팔때 문제가 될까봐 일부러 찾았는데 몇 시간씩 기다려야 해서 지치기만 한다"며 "전주의 경우 딱 하나뿐인 서비스센터로 사람이 몰리니 예약이 무색한 것 같다"며 하소연을 했다.

액정, 배터리 등 스마트폰 사용 시 고장으로 이난 수리비용 부담이 크다는 소비자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수리를 맡기기 위한 단말기 제조업체의 공식 수리점 현황이 업체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이 국회 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애플코리아의 공식 수리점은 88개로 삼성전자(178개), LG전자(167개)에 비해 절반 가까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의 경우 직영 서비스센터로 178개를, LG전자는 직영 서비스센터 소속 분점 36개를 포함해 167개를 운영하고 있는 반면 애플코리아는 직영점은 단 한곳에 불과하고, 공식서비스 제휴업체 87개를 포함해 총 88개를 운영하고 있다.

전북의 경우 수도권과 비교해 확연히 적은 서비스센터를 보유하고 있었다. 서울에서는 3개 제조사 서비스센터가 91개에 달하며 경기 지역은 99개인데 반해 전북은 삼성전자 7개, LG전자 7개, 애플은 단 두개에 불과했다.

특히 애플의 경우 국내시장 점유율이 LG에 비해 두 배나 많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센터는 LG의 절반 수준이어서 애플 사용자들의 불편은 오랫동안 누적돼왔다.

전북 역시 단 두개의 서비스센터에서 전북 사용자들의 모든 수리민원을 해결하다보니 급한 고객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타지역의 공식 서비스센터나 사설 서비스센터를 이용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이에 신용현 의원은 "스마트폰이 업무, 일상 등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물건이 된 만큼 고장이 났을 경우 최대한 빨리 수리가 이뤄질 수 있어야 소비자 불편이 덜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지역의 경우 면적이 넓음에도 공식 수리점 개수가 적었을 뿐 아니라 일부 사업자는 타사에 비해서도 현저히 적어 소비자들이 공인되지 않은 사설업체를 이용할 수 밖에 없어 어느 쪽이든 소비자가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정부와 제조사는 소비자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당부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