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을 비롯한 3개 부·청이 함께 기획한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면서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국내 유일의 농업 R&D 기관으로서 감당해야 할 역할과 더불어 기초연구개발기술을 산업화로 이어갈 수 있도록 기술과 현장의 '가교' 역할까지 도맡게 된 농진청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부터 3개 부·청이 공동 기획한 것으로,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아 '21년부터 7년간 총 3,867억 원(국비 3,333억 원, 민자 534억 원) 규모의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농식품부와 농진청이 주관하고 과기정통부가 참여하는 이번 사업의 예산 매칭 비율은 각각 40:40:20으로 2개 내역사업과 10개의 전략과제, 그리고 35개의 추진과제들이 다뤄질 계획이다.

기존 스마트팜 R&D가 농업 편의성 제고를 위한 1세대 스마트팜 개발에만 집중한 것과 달리, 이번 혁신기술개발사업은 스마트팜 원천기술을 확보,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의사결정을 통해 저투입·고효율의 안정적인 농축산물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팜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1세대 스마트팜은 '편의성'에 방점을 찍고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보급·확산되고 있는 모델로 IT기술을 활용해 시설의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농업인이 직접 원격제어를 해야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2세대와 3세대를 거치면서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는 초보적 데이터 기반 스마트팜에서 로봇과 신재생에너지 기술 등 첨단기술 간 융합을 통해 완전 무인·자동화 된 모델로 진화해 지속가능하고 누구나 고생산·고품질 농산물을 수확하는데 이르게 하겠다는 것이 이번 사업의 최종 목표다.

특히, 농진청은 과기정통부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을 토대로 개발한 기초원천기술을 농업현장에 적용·실증을 도맡았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물을 농산업 기업과 연계해 산업화로 발전시키는 가교 역할까지 담당하게 되면서 스마트팜 R&D분야에 뚜렷한 존재감을 나타낼 수 있을지에 대한 시험대에 서게 됐다.

홍성진 연구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팜 기술이 한 세대 발전할 것"이라며 "청년들이 농업에서 매력을 느끼고 농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가 인식 대전환을 가져오겠다"고 말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