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상공인이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소상공인 지원 기능을 집중·연계할 ‘허브 기관’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제시됐다.
이 같은 제안은 최근 도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 및 예산규모는 확대되고 있는 반면, 지원사업의 수혜대상은 전체의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점과 지원정책 및 전달체계에 대한 인지도가 낮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전북연구원(원장 김선기)은 29일 ‘전라북도 소상공인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방향’을 주제로 한 이슈브리핑에서 정책의 효율적 전달과 지원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소상공인 종합지원 플랫폼’을 구축, 소상공인을 전 방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역경제의 중요 주체인 소상공인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변화와 실태를 면밀하게 진단하고, 다양한 정책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종합지원을 통해 도내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와 안정적 성장을 지원하자는 목적에 의한 제안이다.
연구원은 소상공인이 소수 업종에 집중돼 과당경쟁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등 생존유지에 어려운 현실 상황 속에서 소상공인의 생존과 성장을 지원하는 맞춤형 플랫폼의 기능과 과제를 제안했다.
우선 다양한 경로로 제공되는 소상공인 정책정보 제공을 일원화해 정책의 접근성을 높이고 소상공인에게 지원 사업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 소상공인 종합 상담 및 지원사업 연계로 정책수요자들의 의견을 수렴·반영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지원정책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해 맞춤형 정책 마련으로 정책의 인지도와 체감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다양한 지원서비스 공급자(정부기관-유관기관-민간기업)와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상호간 업무협력을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구를 맡은 전북연구원 김수은 박사는 “소상공인 종합지원 플랫폼을 통해 소상공인 지원정책의 적시성, 연계성, 전문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5년간 전북지역 소상공인 지원사업과 예산 규모는 지난 2015년 9개 사업 202억 원에서 올해 19개 사업 386억 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하지만 지난해 ‘전라북도 소상공인실태조사’ 결과, 지원사업의 수혜대상은 29.0%에 그쳤고, 지원정책과 전달체계에 대한 인지도 또한 낮은 것(‘정책 모름’ 37.0%, ‘소상공인희망센터 모름’ 88.5%)으로 나타났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