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개발특구에 연구소기업 100호가 등록을 마쳤다. 전국특구 최초로 100호설립을 달성한 것으로 특구로 지정된 지 4년이란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다. 특히 공공연구개발 성과 사업화는 전북도 과학술기반을 다지고 일자리 창출과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단 점에서도 도가 집중하는 현안이고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 창출과 이를 통한 사업화 강화로 국가 신성장 동력의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정부에서 역심 관심을 두고 지원하는 특구다.
실제 이 같은 노력은 전북특구에 둥지를 튼 연구소기업들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다. 최근 3년(2016~2018년)간 연평균 192%의 매출증가와 253%의 고용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지난 한해에만 총 매출 655억 원에 고용인원만 360명에 달하는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전북도의 상징인 ‘강소농’에 이은 ‘강소기업’ 전북정착의 청신호란 점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기대 또한 높여주는 대목임은 물론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미래신산업 지원 확대 기조에 따라 전국에 새로운 특구지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고 해당 지자체들 역시 특구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내놓으며 연구소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구에 분야를 세분화해서 지역산업과 연계 조성, 발전시키는 단계까지 진행된 특구도 적지 않고 특구성장이 지역발전 핵심 축이 될 거라며 특구 추진단까지 구성한 지자체도 있다.
더욱이 전북특구는 대덕, 대구, 광주, 부산 등과 함께 한국 연구개발 특구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대 속에 출발했지만 아직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좀 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가차원의 특구지정을 통한 지원확대는 긍정적이지만 이로 인해 관심이 분산되고 예산이나 사업비 등이 축소 돼서는 안 되는 이유다.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는 점에서 특구 활성화와 발전·육성을 위한 강력한 의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비슷한 특구 신규지정이 기존 특구에 부정적인 요소가 아니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존 특구에 대한 좀 더 많은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안착을 돕는 것도 한 방법이다. 원조 특구가 성공해야 제2,제3의 후속 신규특구가 자리를 잡을 수 있음을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