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25년 후면 전북도민 10명중 4명이 노인이 될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또 예상했던 고령화 추세가 빨라지면서 내년이면 전남에 이어 전북도 역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될 전망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의 분석으로 65세 인구가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되고 한국이 진입하는 시기가 2026년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전북은 이보다 무려 6년이나 앞서는 셈이다. 
지난 18일 발표된 ‘통계로 본 2019년 호남·제주 고령자 현황 및 분석’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전북 고령인구 비율은 19.7%였다. 전남에 이은 전국 두 번째로 전국평균 14.9%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65세 이상 가구주를 뜻하는 고령자 가구는 물론 고령자 1인 인구 비율 역시 각각 29.1%, 10%를 넘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전북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음이 수치상 분명히 확인된 것으로 지금 추세라면 2045년 65세 이상 전북인구는 42.5%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고령사회 진입과 이로 인한 경제 활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 게 이미 오래전이지만 그 시기가 예측통계가 나올 때 마다 크게 앞당겨 지는 상황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노인인구 증가는 필연적으로 이들을 돌볼 수 있는 각종 복지나 여가시설 확충을 요구함에도 요양기관수는 시골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오히려 감소중이다. 60세 이상 노인 1천 명당 복지시설수를 나타내는 노인여가 복지시설수가 지난 2009년엔 16.8개였지만 지난해 기준 시설 수는 13.8개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고령화 사회 진입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준비가 이들이 지낼 시설의 확충임에도 오히려 사회적인 준비는 후퇴하고 증가하는 노령인구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 단면이 아닐 수 없다.
노령사회에 대한 대비는 물론 자신들 스스로가 해야 한다. 하지만 본인이나 가족이 이 문제를 해결 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노인인구 증가는 치료비, 요양비 부담은 늘리며 공공부조에 의지할 수밖에 상황을 필연적으로 맞게 된다는 것이다.
고령사회에 미리 대비하지 못하면 자칫 경제는 파산하고 사회는 기능을 잃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국가와 지자체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가 늦어지면 늦어지는 만큼 부담은 배가 될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지금 심각하게 고령화대책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