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가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자산운용형 국제금융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금융생태계가 피어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주여건 개선정책이 뒤따라야만 좌초된 제3금융중심지 지정에 정부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길것이라는 내용도 언급됐다.

국민연금공단(이사장 김성주)은 3일 농협중앙회 중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북 혁신도시의 금융도시 비전과 잇따른 국내 금융기관의 전주 사무소 개소의 의미를 소개했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이승훈 국민연금공단 미래혁신단장은 전북을 자본과 사람이 모이는 국제 금융도시로 육성하는 것을 기치로 내건 공단의 목표를 설명했다.

이 단장은 "금융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선 자본이 필수요건인데 이미 전주는 국민연금의 기금적립금 700조 원이 있어 자금이 부족한 상황은 아니다"며 "하지만 만족스러운 수준도 아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자본력을 가진 금융기관들이 전주에 속속 모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2010년 지정된 서울과 부산의 금융도시에 이어 전주에서 자산운용과 농생명 중심의 국제금융도시를 키워낼 역량을 보인다면 금융 트라이앵글이 완성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자본이 있는 곳에 사람과 기술이 모이게 하려면 그들이 일 할 수 있는 공간과 정주여건 개선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이 단장은 "전주는 현재 공항과 철도 등 모든것이 부족한 상황이라 접근성 개선이 시급하다"며 "교통여건만 빠른 시일내에 구축되면 국제금융도시로 성장하는 것은 시간문제다"고 말했다.

특히 "혁신도시 내에서 금융기관들이 모여야 하는데 현재 혁신도시는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며 "부산만 해도 63층짜리 금융센터에 모든 입주가 마쳐졌으며, 서울엔 부산 규모의 건물이 4동이나 있는데 전주는 이제 30층 규모의 JB금융센터가 건립중에 있어 이런 부분이 형성되어야만 금융도시 지정의 명분이 살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 단장은 "국민연금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금융생태계 기반을 다져놓으면 정부는 당연히 지정을 서두를 수 밖에 없을 것이며, 그에 따라 자산관리기관, 법률자문회계기관, 일반 금융사까지 자연스럽게 모일 수 밖에 없다"며 " 세부 기관들까지 전주에 모이게 하기 위해선 지자체와 전북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기관 집적화 속도가 너무 더딘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김정학 국민소통실장은 "금융기관들의 전주 이전은 점진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밖에 없는 부분이 많다"며 "하지만 국민연금은 지난해 기금운용 수익률이 -0.92%에서 1년 만에 8.92%로 퀀텀 점프했으며, 6년 안으로 1천 조 시대를 맞이할텐데 이 시대를 전주가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 전주를 찾는 금융기관들이 늘어나려면 어떤 고민을 해야할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답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