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인한 수익성 악화에 기업 10곳 중 4곳이 올 설 상여금을 지금하지 못할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509개 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설 연휴 실태조사’를 한 결과 상여금 지급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57.8%였다. 전년 보다 3.7%가 하락한 것으로 특히 300인 미만 중소기업은 작년보다 4.4%포인트 줄은 55.2%였다. 중소기업들이 체감경기 악화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올 설 경기에 대해서도 70.8%가 전년보다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의 경영상태가 나아지기는커녕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부정적인 응답을 내놓은 것이다.
개선됐다는 응답이 3.8%에 불과함에도 정부가 내놓은 수치나 전망은 밝다. 문재인대통령도 지난 14일 신년기자회견에서 “우리 경제에서 부정적인 지표들은 점점 적어지고 긍정적인 지표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지금의 경제를 낙관했다. 긍정과 부정의 지표가 있는 건 사실이고 거시경제가 좋아진다고 국민 개개인 삶에서 체감하는 경제가 바로 좋아진다고 볼 순 없지만 경제호조 분위기는 분명하고 정부 역시 실질적인 삶의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경제지표가 경기회복 시그널을 보내고 정부역시 경제성장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낙관에 대한 거부감이 커져 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체감하는 생산이나 투자, 소비 모두가 ‘위기’고 지금의 경제정책에 대한 쓴 소리가 나옴에도 정부가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걱정이 그것이다.
소득주도 성장이나 모두가 잘사는 포용정책이 하루아침에 성과가 나는 게 아니고 일관된 정책 기조를 통한 바닥을 다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는 하지만 그 과정에 대한 피로감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분명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어려운 경제상황에 대한 긴급처방이나 불확실성에 대비한 준비가 필요한 경우가 적지 않음에도 이에 대한 신뢰나 믿음이 가지 않는다는 불만 까지 나온다. 
체감경기가 바닥인데 나아지는 경제지표만 들이민다면 오히려 국민의 불신만을 가중시킬 수도 있음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현실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외면한다는 비난의 목소리만 커질 뿐이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헛구호가 되면 그 다음은 심각한 위기의 직면임을 명심해야 한다. 기업들이 아니라고 할 땐 분명 이유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