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도내 주요지자체들이 지역의 미래를 이끌 차세대 젊은 인재 육성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점차 활력을 잃고 있는 도시에 생기를 불어 넣고 ‘젊은 전북’으로의 재탄생을 위해 신정책 수립과 이의 실천을 위한 사업비배정을 아끼지 않겠다는 것이다.
전북도가 일단 앞장을 서고 있다. 올해 청년정책을 도정의 최우선에 놓고 소통확대와 청년 취업문제해소, 복지·문화 지원을 위해 5개 분야 총 135개 사업에 225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922억 원 보다 17%가 늘었고 2018년 1441억 원에 비해선 무려 56%가 증가한 규모다. 가장 핵심은 물론 지역 최대 현안이자 국가과제이기도한 청년취업 및 고용활성화로 모두 10개 세부지원 사업을 확정했다.
주거나 복지 분야에도 실질적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시군 간 청년정책 네크구성을 위한 사업도 확대할 방침이다. 청년들과의 소통창구를 넓히기 위한 포럼의 내실화, 청년종합허브센터구축에도 사업비를 투입한다.
전주시 역시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대비한 지역 핵심인재 육성을 위해 KAIST와의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매월 두 차례 초빙교육을 통해 이해도와 중요성을 높이고 정부의 국책·전략 공모사업 공동대응을 통해 지역인재 참여기회를 확대한다는 기본방침아래 구체적인 사업선정에 착수했다. 
도를 중심으로 일선 지자체들이 청년정책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지역의 미래는 곧 ‘젊은’에서 찾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저 출산 고령화사회가 고착화된 지금 한국의 미래는 ‘활력 잃은 약화된 한국’일 뿐이다. 특히 지방소멸 위기까지 거론되는 상황에 비수도권지자체들에 있어서 청년문제는 당장은 물론이고 지역의 미래를 위해서도 반드시 긍정적인 해법을 내놓아야 할 당면과제다. 더욱이 청년정책에 가장 발 빠른 대처를 하고 있는 곳이 서울일 만큼 청년이 넘치는 지역이나 반대인 지역 모두 청년 정책 발굴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전북지자체들 관심을 갖고 더욱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이유다. 
끊임없는 지원 정책 발굴과 이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는 청년들이 한두 명씩 늘어날 수 있다면 일단 희망의 시작일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젊은 전북, 청년이 살기 좋은 전북’을 만드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지금 고민하고 지혜를 짜내지 않으면 정말 미래는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