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의 성공과 지속적 수질관리 등을 위해 3단계 수질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새만금 개발계획에 맞춰 수립된 2단계 수질대책 기한이 얼마 남지 않으면서 내부개발 지연과 호내 수질 개선대책 미 추진 등에 따른 목표수질 달성시기 연장 필요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태다.
28일 전북도에 따르면, 환경부는 올해까지의 새만금 개발계획에 따른 2단계 수질대책 기한이 다가옴에 따라 수질대책을 종합 평가하는 연구용역을 지난해 7월부터(올 9월까지) 추진하고 있다.
이 용역은 새만금 수질과 오염원 변화분석, 수질예측 모델 개선, 수질개선 효과분석 및 평가를 거쳐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예측하고, 향후 수질관리 방안들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는 새만금기본계획(MP) 및 2단계 수질대책에서 목표수질은 내부개발이 계획대로 추진되고, 호내 대책(3635억 원 투입)을 포함한 2단계 수질대책이 정상 추진됐을 때 달성 가능하다고 제시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2단계 수질대책은 올해까지의 개발계획인 73%에 맞춰 수립됐지만 현재 새만금 내부개발은 38%로 상당 부분 지연됐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여기에 내부공사가 완료된 후에나 추진 가능한 호내대책(인처리, 침전지 시설, 오염지역 준설 심층폭기시설, 정체수역 해소 대책, 생태환경용지 내 인공호안 습지 조성 등)은 연내 착공도 어려운 실정이라는 것.
이에 도는 개발정도와 환경여건 등을 고려할 때 올해 목표수질 달성 여부를 평가한다는 것은 시기적으로 문제가 있어 개발정도 등을 고려한 목표수질 달성 시기의 연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새만금 개발과 성공적 수질관리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수질대책을 마련, 올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며 “변화된 여건과 2단계 수질대책의 효과 등을 정밀점검해 범정부 자원의 3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을 마련·추진해 달라고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새만금유역 수질개선종합대책에 따라 지난해까지 새만금에는 투자계획 대비 96.5%인 4조 2823억 원이 투자됐고, 이 중 97.7%인 4조 1828억 원은 하수처리장 확충 등 새만금 상류하천의 수질개선 대책에 집중 투자됐다.
도는 새만금 상류에 대한 대책은 전반적으로 정상 추진되고 있는 반면, 호내 대책은 내부개발이 늦어지면서 대부분 미추진 또는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