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원예술대학교 미술조형과 교수인 이철규의 개인전 ‘금 이야기.. 상생-합(Gold Story.. Living Together-Unity)’가 서울 금호미술관에서 13일부터 23일까지 열린다.
  닥펄에 개금하여 만든 108개의 인간형상을 삼각형 좌대(8m)위에 배치한 설치미술 작품과 영상작업 각 한 점, 평면작품 신작 10여점을 전시한다.
  그는 ‘수묵과 금의 결합’이라는 자신의 화두를 이번 전시에서도 펼친다.
  그의 ‘금과 수묵의 상생’ 작업은 독도무진도(獨島無盡圖, Eternal Dok-Do)시리즈에서 이질적인 두 재료를 더욱 더 이질적으로 보이게 하려고 의도한 작품이다.
  이질적으로 작업하려했던 의도가 전화위복이 된 느낌이랄까? 이질적인 것이 동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조화(調和, Hamony)가 되어버렸다.
  작품을 제작 할 때 조화롭게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완성도면에서나 주목도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그는 수묵이 갖고 있는 ‘정신적인 것’에 금이 갖고 있는 ‘물질적인 것’의 동거〈調和, Harmony〉에 초점을 두고 작품을 제작할 때 조화는 생각지 못했고 또한 서양대표재료인 오일칼라와 금의 조화도 예상치 못했다고 한다.
  독도무진도(獨島無盡圖)시리즈는 수묵과 금의 조화, 즉 상생으로 독도가 가지고 있는 영원성과 보물섬으로서의 상징성 표현하는 데 성공하였고 많은 주목을 받았다.
  현대를 살아가는데 물질 즉 자본(Money, 돈), 황금은 매우 필요한 요소이다. “이 자본을 어떻게 사용할거냐?”하는 방법을 제어하고 판단하게 하는 것은 “정신” 즉 수묵이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수묵과 금은 서로 필요불가결한 것이다. 서로 상생(相生)하는 지점이 있어야한다.
  그는 이 지점, 경계를 이번 전시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는 “나의 개금작업은 황금만능주의의 대표적 상징인 금(金, Gold)이라는 ‘물질적인 것’과 자연과 하나 되는 아이콘들 즉 ‘정신적인 것’을 화면에 상징적으로 배치하여 부자와 빈자, 자연과 인간, 음과 양, 평면과 입체, 구상과 추상 등의 조화로운 합(合,Unity), 즉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는 상생(相生, Living Together)의 장을 구현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김금화 전시기획자는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동안 천착해왔던 인간과 신, 자연과 우주, 정신성과 물질성, 일상과 예술의 공존과 상생의 관계를 보다 실존적이고 집요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병재기자·kanadasa@
12-이철규1 독도무진도(獨島無盡圖, Eternal Dok-do ), 한지에 순금박 개금 수묵, 122x122cm, 2020
12-이철규 2 설치작품(상생-합, 108개, 가변설치), 부분도
12-이철규3 상생(相生) - 합(合)Living together-Unity,66×60cm, 한지에 수묵 3겹, 순금박 개금, 20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